earticle

논문검색

기술논문

대덕부지 원자력관련시설 운영에 따른 주민피폭선량 현황분석

원문정보

Radiological Dose Analysis to the Public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Daedeok Nuclear Facilities

정해선, 김은한, 정효준, 한문희, 박미선, 황원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ssessment of radiological dose resulting from operation of the Daedeok nuclearfacilities including the HANARO research reactor, which has been performed to assure whether or not to comply with theregulation standards of the radioactive effluents releases.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and the radiation source term,the maximum individual doses were evaluated from 2010 to 2012. The atmospheric dispersion and the deposition factors ofgaseous effluents were calculated using the XOQDOQ computer code. ENDOS-G and ENDOS-L code systems were also usedfor maximum individual dose calculation from gaseous and liquid efflu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regulation standards for the radioactive effluents presented by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Theeffective doses and the thyroid doses of the maximum individual were calculated at the maximum exposed point in theDaedeok site, and contributions of exposure pathways to the radiological doses resulting from gaseous and liquid radioactiveeffluents were evaluated at each facility of the Daedeok site. As a result, the maximum exposed age was analysed to bethe child group, and the operation of HANARO research reactor had a major effect more than 90% on the individual doses.The main exposure pathways for gaseous radioactive effluent were from ingestion and inhalation. The effective doses andthe thyroid doses were considerably influenced by tritium and iodine, respectively. The gaseous radioactive effluentscontributed more than 90% on the total doses, whereas the contributions of the liquid radioactive effluents were relativelylow. Consequently, the maximum individual dose due to radioactive effluents from the nuclear facilities within the Daedeoksite were less than 3% of the regulation standard over 3 year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radioactive effluents fromthe nuclear facilities were well managed, with the radiation-induced health detriment for residents around the site beingnegligibl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덕 원자력부지에 위치한 원자력관계시설들에 의한 방사선환경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체상 및액체상 유출물에 의한 주민선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3년간 대덕부지의 기상자료및 환경으로 방출된 선원항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 최대피폭선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기체상 유출물의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는 XOQDOQ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기체상과 액체상 방사성물질의 방출에 의한 최대개인선량(이하 개인선량)계산은 각각 ENDOS-G와 ENDOS-L 코드를 사용하였고,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2-29에제시된 부지당 연간기준치와 비교하였다. 최대피폭지점에서의 개인의 유효선량과 갑상선선량을 계산하였고, 이에 대한 피폭영향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대 피폭연령군은 소아로 평가되었으며 하나로 운영에 의한영향이 90% 이상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체상유출물에 의한 주요피폭경로는 섭취와 호흡에 의한 것이며,유효선량에는 삼중수소가, 갑상선 등가선량에는 방사성옥소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량평가시 기체상유출물이 90% 이상 기여하였고 액체상유출물에 의한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덕부지의 원자력관계시설들에 의한 부지 내 개인선량은 최대 기준치의 3% 이내로 평가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재료와 방법
  2.1. 방사성유출물의 환경방출
  2.2.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
  2.3. 피폭경로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해선 Hae Sun Jeong.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은한 Eun Han Kim.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효준 Hyo Joon Jeong.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문희 Moon Hee Han,.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미선 Mi Sun Park,. 한국원자력연구원
  • 황원태 Won Tae Hwang. 한국원자력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