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임상미술치료의 역할

원문정보

The role of Clinical art therapy in youth suicide prevention

김선현, 전세일, 안석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depression, thoughts of suicide and stress in adolescent and to develop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as a practical and active form of education or treatment for preventing suicide in adolescent. Method: Students with high-risk of suicide from 5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given 12 clinical art therapy programs for 90 minutes, once a week.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art therapy, students were evaluated by Depression Test, Thoughts of Suicide Test, Emotion & Behavior Test, Brain Waves Test and Saliva Test before and after therapy.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test (signifi cance level was P<0.5). Results: 1. The clinical art therapy for the students with high-risk of suicide had signifi cant effects on the level of depression(t=2.764, p=.008), thoughts of suicide(t=2.785, p=.008) and emotion & behavior(t=2.439, p=.019)(p<.05). This means that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depression, thoughts of suicide and the level of emotion & behavior in adolescent. 2. The clinical art therapy for the students with high-risk of suici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rain- function-level of selfregulation( t=-2.658, p=.031), attention(left-brain: t=-.2.421, p=.046 right-brain: t=-2.606, p=.035), emotion(t=-2.880, p=.024) and stress(left-brain: t=-2.918, p=.022 right-brain: t=-2.393, p=.048)(p<.05). This means that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thoughts of suicide overcoming external stress by increasing positive emotion, attitude and capability of studying. 3. The long term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tudents with high-risk of suicide was effective to decrease thoughts of suicide overcoming external stress by increasing positive emotion, attitude and capability of studying. 4. The positive and qualitative change occurred in the KHTP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especially on space composition, pressure of stroke and overall mood of the artwork. Expressionless or depressive faces turned into comfortable or smile fac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on depression, thoughts of suicide and stress in adolescent. And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is expected to be an adjuvant program for preventing suicide in adolescent.

한국어

목 적: 청소년의 우울, 자살생각 및 정서. 행동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자살 예방교육 및 치료의 한 유형으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시 소재 5개 중학교에서 자살고위험군 중학생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 사후 검사는 우울검사, 자살생각검사. 정서, 행동 검사와 뇌파검사 및 타액검사를 하였다. 통계 처리는 t 검증으로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 0.5로 하였다. 결 과: 첫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우울(t=2.764, p=.008), 자살생각(t=2.785, p=.008), 정서.행동 (t=2.439, p=.019)이 p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 각을 낮추고 정서. 행동 지수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뇌기능지수에서 자기조절지수(t=-2.685, p=.031), 주의지수(좌뇌: t=- 2.421, p=.046 우뇌: t=-2.606, p=.035), 정서지수(t=-2.880, p=.024), 스트레스지수(좌뇌; t=-2.918, p=.022, 우뇌;t=-2.393, p=.048)이 p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심리상태, 생활태도, 학습능력에 긍정 적인 영향을 주어 외부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고 자살생각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타액 코티졸 농도가 초기에는(t=1.303, p=.199) 약간 낮아졌으나, 후기에는 (t=2.240, p=.030)로 낮아져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활동보다는 장기적인 활동으로 진행이 되면 심리상태, 생활태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외부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고 자살생각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사전·사후에 실시한 실험집단의 KHTP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임상미술치료 후에는 무표정하거나 우 울한 인물의 표정이 편안하게 웃는 모습으로 변화되며, 특히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밝아지고 어느 정도 화면의 공간구성능 력이나 필압의 조절 등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의미 있고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 론: 임상미술치료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 정서. 행동발달 및 자살생각 감소에 미술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임상미술치료를 청소년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1):5 -17)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 및 우울과 자살
  2. 뇌기능지수
  3. 스트레스와 코티졸
  4.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5.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임상미술치료의 양적 분석
  2. 임상미술치료의 질적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선현 Sun-Hyun Kim. CHA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 전세일 Sea-Il Chun. CHA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 안석균 Seuk-kyun A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