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Lately, Korea’s correction environment is converted. Nowadays, the purpose of the Korea’s correction system is focusing on the correction administration of treatment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But in the past, the purpose of our correction system is focused on the correctional administration of retribution. This change is most visible that the education system of prison inmates is converted from Indoctrination training to Participatory education. However,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is done in prison varies depending on the program instructor. Also, it’s not verified to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 carried out m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6 times. For this purpose, I surveyed from 2010. May to December. And I examined changes of the Impulsivity, aggression,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egrees of the Impulsivity and aggression are decreased and the degree of self-esteem is increasing before than carrying out the program. As a result, I testifi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prison inmates.
한국어
과거 우리나라의 교정환경은 응보형 교정행정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수형자의 심리적 개입을 통한 치료형 교정행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형자를 대상으로 교정시설의 정신교육 위주의 주입식 교육방식이 참여형 교육방식인 인성교육으로 전환된 것에서 잘 드러난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늘날 교정시설의 교육을 건전한 인격형성과 수용생활 및 사회복귀에 필요 한 인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교육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도소 내에서 이루어지 고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기에 인성교육 강사의 자질과 역량 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또한 아직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도 이루어지 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교도소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 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2010년 5월부터 12월 까지 6차례에 걸쳐 수형자에게 실시하고, 프로그램 시행 전 후의 충동성, 공격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수형자들의 충동성 과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하되었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 어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인성과 범죄에 관한 일반적 논의
1. 인성과 범죄성과의 관계
2.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1.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 측정도구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