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키지디자인 평가척도의 실증적 검증 연구 - 제품유형(고관여 이성, 저관여 감성)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평가 -

원문정보

A Study on Practical Verification of Measurement Standard of Package Design - Evaluation of Package Design Following Product Types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

한승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ckage Design has important role in sales as it represents as a face or the character of the goods. However, in such modern era where so many goods are flooding, it is hard to tell which design would appeal more attractive to the consumers. Therefore I felt there needs a kind of measurement that could help to choose and diagnose a design technically. In this research, I authenticated positive methods of the possibility of using measurement and diagnostic evaluation effectively through advanced theoretical studies. Following the research order, I nominated milk product family as my targeted object for evaluation. 585 college students each surveyed on package designs of high involvement product 'calcium balanced milk', and low involvement product 'delicious milk GT'. The evaluation was done with 6 levels of evaluation (esthetic factor, attractiveness, reliability, uniqueness, associability, functionality) which was developed by advanced research, and 4 evaluation factor (Brand factor-corporate symbol, type of brand logo/ Visual factor-color, layout, illustration, emblem/ Form factor-form, container and quality of the package/ Copy factor-copy) on ten different sub-categories. Through the evaluation, I found out which parts of the 6 levels of evaluation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As a result, when evaluating a package design through the measurement standard and diagnostic evaluation research, it ables the observer to be unleashed from own perception and evaluate the design subjectively. Additionally, diagnostic evaluation is considered as a measurement that would concretely diagnose the problems of package design by discriminating pros and cons of the goods and its package design.

한국어

패키지디자인은 제품의 성격이나 얼굴과도 같은 역할을 함으로서 판매나 매출 면에서 그 역할이 매 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대와 같이 다양한 제품의 시대에 있어서는 어떠한 디자인이 소비자에게 더 어필할 수 있는가를 판별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과학적인 방법 으로 디자인을 선택하고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제작함에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금번 연구에서 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패키지디자인 평가척도의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실제적 검증을 하였다. 연구절차에 따라 최종적으로 우유제품군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고관여 이성제품으로 ‘칼슘밸런스우유’를, 저관여 감성제품으로 ‘맛있는 우유GT’의 패키지디자인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6개의 평가차원(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 연관성, 기능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4개의 평가요인(브랜드요인- 코포레이트심볼, 브랜드로고타입 요소/ 비주얼요인- 컬러,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엠블렘 요소/ 형태요인- 형태, 용기 및 포장재질/ 카 피요인- 카피 요소)에 10개 하위항목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를 통해 패키지디자인의 각 요소별로 주목성, 신뢰성 등 6개의 평가차원에 대해서 어떠한 부분 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는가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평가척도의 활용과 검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패키지디자인을 평가할 때, 개인의 주관 적인 판단 방법에서 탈피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방법은 패 키지디자인의 각 요소별로 어떤 부분이 좋고 나쁜 가의 여부를 판별하여 구체적으로 문제점을 진단 ,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연구문제(가설)
 2. 이론적배경
  2.1. 관여도와 FCB Grid 모델
 3. 제품유형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평가
  3.1. 연구방법
  3.2. 측정도구
  3.3. 제품선정
  3.4. 자료분석
  3.5.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승문 Han Seung Mun. 남서울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