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WTO DSU상 구제조치의 목적에 대한 검토

원문정보

The Intended Purpose of Remedies under the WTO Dispute Settlement Understanding

이길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offers a strong and effective dispute settlement system by providing either compensation or retaliation as acceptable remedies. However, absent provisions under the WTO Dispute Settlement Understanding(DSU), it seems fairly unclear what remedies are trying to achieve. In this circumstance, one tends to posit that the purpose of WTO remedies is to induce compliance. This view is in line with public international law where countries are under a strict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ir commitments. On the other hand, another tends to posit that the purpose of WTO remedies is to restore the balance of the trading relationship. By merely offering adequate compensation and equilibrating the mutual balance, violating members are under no obligation to comply with WTO agreements, thus, providing an efficient opt-out possibility. These two different views bring completely different legal consequences in the sense that the former requires strict compliance, whereas the latter offers an option for non-compliance.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clarify what the intended purpose of remedies is in order to provide possible improvements to remedies, which have been a major agenda in the Doha Round, and facilitate the arbitration proceeding under Article 22.6 of the DSU.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find the purpose of WTO dispute settlement remedies by looking at them from historical, contractu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 discovered that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remedies have changed from GATT to the WTO. The legal transformation toward enforcement created the purpose of inducing compliance in WTO remedies along with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balance of benefits between the parties to a dispute. From a contractual perspective, I discovered that WTO remedies resemble the property rules of contract remedies, ensuring voluntary bargaining for entitlement protection. In the situation of both providing compensation and implementing retaliation, a violating member attempts to negotiate with a complaining member and pays a 'temporary release cost' for its failure to comply with WTO obligation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 discovered that the members' current practice of retaliation explicitly indicates that the purpose of WTO remedies is to induce compliance in terms of its target and implementation method. Overall,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WTO remedies is to induce compliance, requiring the full implementation of WTO obligations.

한국어

세계무역기구(WTO)는 분쟁해결규칙 및 절차에 관한 양해각서(DSU)를 도입함에 따라 WTO판정의 불이행시 보상을 제공하거나 보복조치를 허용함으로써 강력한 구제제도를 구축하였다는 평가를 받 고 있다. 그러나 DSU를 포함한 WTO협정 어디에도 구제조치의 도입 취지나 목적이 언급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도하개발아젠다에서의 개선논의 및 DSU 제22조 6항에 따른 중재절차를 원활히 진 행하는데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일부 견해는 WTO 구제조치의 목적이 ‘조약은 그 당사국을 구속하며 또한 당사국에 의하여 성실하게 이행되어야 한다’는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 제26조(pacta sunt servanda)에 입각하여 위반국으 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판정을 이행할 것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견해는 WTO 구제조치의 목적은 판정의 이행을 유도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손해배상을 지급하 면 된다고 한다. 이에 근거하여 분쟁당사국간 무역관계의 균형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고 주장하고 있다. 양 입장의 대립은 이행에 관하여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매우 심각 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은 WTO 분쟁해결절차상 구제조치의 목적이 WTO협정상 의무불이행국의 의무이행을 유도하여 판정의 이행을 확보하기 위함인지, 혹은 분쟁당사국간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여 무역관계 의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함인지를 역사적 관점, 계약법적 관점, 관행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결과, GATT체제에서 WTO체제로 변하는 과정에서 분쟁해결기구(DSB) 권고 및 판정에 대하여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였다는 점과 판정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 고 있다는 점 등 WTO 구제제도가 판정의 이행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약법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결과, WTO 구제조치는 영미계약법상 재산규칙에 따른 구 제방법 중 채무자로 하여금 계약의무의 완전한 이행을 요구하는 특정이행과 유사하다는 점으로 보 아 판정의 완전한 이행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행적 관점에서 검토해본 결과 , 보복이행국이 보복의 대상이 되는 산업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려 했다는 점, 보복의 수준을 점진적으 로 증가시켜 이행하였다는 점 그리고 교차보복을 이행하려 했다는 점을 비추어볼 때, 보복이행국은 위반국으로 하여금 판정을 이행할 수 있도록 강한 압력을 가하려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WTO 구제제도의 도입 취지나 목적은 위반국으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판정을 이행할 것 을 유도하는데 있다. WTO 분쟁해결절차상 구제조치는 판정의 준수에 대한 대체가 아니라 완전한 준 수가 이루어질 때까지 취해지는 판정이행의 지연에 대한 잠정적인 구제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역사적 관점에서 구제조치의 목적
 III. 계약법적 관점에서 구제조치의 목적
 IV. 관행적 관점에서 구제조치의 목적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길원 Lee, Kil Won.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