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 환경과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및 학업 중단간의 관계 분석

원문정보

정동욱, 김영식, 양민석, 이성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noxious environment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 (SEHPZ)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of individual school,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ntemporary SEHPZ System. Little is known about the link between noxious environment and students’ problem behavior in Korean literature. In doing so, we made a unpreceded attempt to reveal the linkage between those two factors. More specifically, using complete data of the noxious environment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roblem behavior at Individual school level, we have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y employ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negative binominal distribution. Our results show that if noxious environment is more intensified, the number of students involved in school violence and school dropout would be increasing, which mean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oxious environment around school area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noxious facilities or businesses in the SEPHZ are harmful enough to give negative effect to Adolescent Students.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law regarding SEPHZ should be more rigid than current status, simultaneously, youth leisure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so that students can use it more frequently and freel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환경과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및 학업 중단과의 관 계 분석을 통해, 현행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와 관련 법령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본 뒤, 이에 대한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지원청별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 소 현황 자료와 전국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학교알리미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음이항 분포를 따르 는 종속변수의 분석에 적합한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HGLM)을 통하여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 해업소 개수와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가해자수 및 학업 중단자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의 수가 많아질수록 단위 학교의 학교 폭력 가해자수 및 학업 중단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주변의 유해환경과 학생들의 문제 행동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에 금지시설 및 업종이 진입할 경우 학생들에게 충분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교환경 위생정화위원회의 심의 기준을 보다 엄격히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행위 및 시설 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설치・운영을 규제하는 한편, 학교 차원의 교육과 함께, 학생들이 건전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지역 사회 차원에서 청소년 문화・체육시설의 확충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개요
  2. 이론적 틀 (Conceptual Framework)
  3.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Ⅲ. 분석 자료 및 방법
  1. 분석 자료
  2. 변수 선정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 분석 결과
  2.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의 개수와 학교 폭력 가해자수의 관계에 대한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HGLM)분석
  3.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의 개수와 학업 중단자수의 관계에 대한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HGLM)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동욱 Jeong, Dong-Wook.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김영식 Kim, Young-Sik.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 양민석 Yang, Min-Seok.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
  • 이성은 Lee, Seong-Eun.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