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cenario Analysis on G2 Trade Dispute and Affects on Korea and Response Strategy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US-China trade dispute using scenario analysis method. At first, We derived 5 trends of US-China trade dispute. Based on this trends, we made 2 by 2 metrix using two basic variables, that are, degree of recovery in US economy and degree of strategic competition among US and China in order to prospect US-China trade dispute systematically. 5 trends of US-China trade dispute we derived are successive trade dispute in every direction, unsettled and prolonged exchange-rate dispute, deepened trade union hegemony competition in Asia, globalization of trade dispute and unstable G2 relation between cooperation and conflict. And then as a result of scenario analysis using 2 by 2 metrix, we derived 4 scenarios which are period of co-existence, cooperation in conflict, conflict in cooperation, and hostile competition. Based on our guess of delayed recovery of US economy, we can predict dispute dominant situation. However, the situation will not go far to the hostile conflict. In this case of conflict dominant situation, the effects on Korean economy are both negative and positive. So responsive policy and strategy of Korean firms and government are very importa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분석방법을 활용해 미-중 통상분쟁에 대해 전망해 보고 한국에 대한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먼저 미중 통상분쟁의 5가지 트랜드를 도출하고, ‘미국의 경제회복’과 ‘미중 양국간 전략적 경쟁’의 정도를 기초로 한 2×2 메트릭스형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향후 미-중 양국 간 통상분쟁의 전개양상을 체계적으로 전망했다. 향후 미-중 통상분쟁의 5대 트랜드로는 무역분쟁의 전방위적 지속, 평행선을 달리는 환율문제, 아시아 지역에서의 통상헤게모니 경쟁 심화, 통상분쟁의 글로벌화, 불안정한 갈등과 협력의 G2 관계로 설정했다. 이를 토대로 메트릭스 분석 결과 공존의 시기, 갈등 속 협력, 협력 속 갈등, 적대적 경쟁이라는 4가지 시나리오를 도출하였고 결론적으로는 미국 경제의 어려움 지속으로 단기적 갈등우위 상황은 지속되나, 적대적 대결까지 나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평가했다. 이로 인한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은 긍정적, 부정적 양 측면이 모두 존재하는 상황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우리 기업과 정부의 대응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I. 도입
II. G-2 통상분쟁의 현황과 배경
2.1 G-2 통상분쟁의 현황
2.2 G-2 통상분쟁의 배경 : 무역불균형과 인식차이
III. G-2 통상 분쟁의 5대 Trend와 시나리오 분석
3.1 5대 Trend
3.2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전망
IV. 한국에 미치는 영향
4.1 부정적 영향 1 : 전세계적 보호주의 확대의 영향
4.2 부정적 영향 2 : 반사이익은 낮고 가치사슬 연쇄로 인한 부정적 효과 존재
4.3 긍정적 효과 : 중국의 내수 확대 및 제도개선 효과
V. 韓國의 대응전략
5.1 정부: 통상분쟁에 대응해 체제 강화 및 자유무역 확산 노력 필요
5.2 기업: 수출시장 다변화와 기술경쟁력 강화가 필요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