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중의 사이버범죄 위험특성과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publics’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송해룡, 김찬원, 김원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s’ risk characteristic of cyber crime and fear on perceived severity of consequ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blics’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Especially,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had a great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of cyber terror type crime. Second, publics’ fear on cyber crime influenced positively on perceived severity of general cyber crime and cyber terror type crime. Third, publics’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 on cyber crime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publics’ fear on cyber crime.

한국어

본 연구는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 및 공포감이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 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특성은 일반 사이버범죄보다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공포감은 일반 사이버범죄와 사이버테러형 범죄의 결과적 심각성 지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공중이 사이버범죄 피해에 대한 걱정이나 불안, 무서움 정도가 높을수록 일반 사이버 범죄나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결과적 측면에서 심각한 위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중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위험특성은 공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위험특성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2) 감정과 결과적 심각성 지각
  3) 위험특성과 감정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응답자 특성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 가설검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해룡 Hae-Ryong Song.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김찬원 Chan-Won Kim. 성균관대학교 SSK연구팀 연구원
  • 김원제 Won-Je Kim.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