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 R&D 프로젝트에 대한 TRL-EVM 평가 방법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TRL-EVM of R&D Projects in Public Sector

김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공공 R&D 투자는 연평균 약 10%씩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한 투자 규모 및 중요성에 비해 R&D 효율은 저조하다. 공공 R&D의 경우 높은 성공률에도 불구하고 기술사업화로 이어지는 비율은 매우 낮아 개선을 필요로 한다. R&D 프로젝트의 주요 실패 요인으로는 R&D 요소기술의 부족보다는 전체적인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의 부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 R&D 프로젝트에 대한 TRL-EVM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공공 R&D 수행기관의 프로젝트 관리 역량 성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공공 R&D 프로젝트의 단계별 평가 기간이 길 고 빈도가 부족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 할 필요가 있으며 필요 시점에 짧은 기간 단위로 수행되는 평가 방법이 필요하며 특히, 기술성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사전에 R&D의 기술적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주기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Gate Review 절차를 수행 하여야 한다. 미국 및 해외 선진국에서는 R&D 프로젝트 관리 및 기술사업화까지의 기술경영을 위하여 기술성숙도(TRL)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국방분야 및 부품소재개발분야에서도 도입하여 적용을 해나가고 있 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D 프로젝트의 상시적인 성과평가관리를 위하여 EVM개념을 도입하고 최근 R&D 분야에 도입되기 시 작한 기술성숙도평가(TRA) 개념을 접목하여 공공부문 R&D 수행기관에 있어 효율적인 연구개발 관리 및 평가 절차 개선 방 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1 EVM과 프로젝트 관리
 2.2 기술성숙도평가(TRA) 개념과 구성요소
 2.3 기술성숙도평가(TRA) 국내·외 도입 사례
 2.4 국내 기술성숙도평가 수행 한계
 3. 기술성숙도평가 활용 R&D 평가절차 개선 방법론 개발
  3.1 공공 R&D 프로젝트 평가 문제점 및 개선 필요성
  3.2 사업성과평가 방법의 발전 과정과 개선 제안
  3.3 TRL-EVM 개요 및 구성요소
  3.4 TRL-EVM 평가 절차
  3.5 White LED 연구개발 프로젝트 TRL-EVM 적용 시뮬레이션
  3.6 기술편차를 이용한 기술위험관리 도구
 4.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 김지현 Kim, Ji Hyun. 한국나노기술원 운영관리본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