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nstruction of Design of Pedestrian Network to induce Access - Focused on Pohang Stream to Yeongildae Beach -
초록
영어
The concerned study reviewed a process and a design proposal of a 'project on securing of pedestrian network for approach guidance'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eam Terranova as a part of a project to promote an integrated design college of Yeungnam University in 2013. In doing so, the study improved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relevant fields on how to deal with the concepts and other matters to be considered to secure the pedestrian network when the fields try to develop the pedestrian network for the approach guidance in a specific area. The study proposed an idea to disperse the concentrated tourism infrastructures into other adjacent areas by guiding traffic lines of visitors from Street Silgaecheon of Central Shopping Mall, the greatest business district in Pohang, to Yeongil Beach, one of the beaches in Pohang. Design plans for each area that the study has proposed will provide visitors with chances to enjoy even more various experiences and attractions while taking the class of the city up to another level, helping Pohang finally find its own identity.
한국어
본 연구는 2013년 영남대학교 융항협 디자인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포항시청 테라노바팀과 연구 개발한 ‘접근 유도를 위한 보행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의 진행과정과 디자인 제안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지역에 대한 접근유도를 위한 보행 네트워크 개발에 있어 개념의 도입과정과 보행 네트워크 구축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과 진행과정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시를 대표하는 중심상권인 중앙상가 실개천거리에서 도심해수욕장인 영일대해수욕장 일대까지 방문객들의 동선을 유도하여, 집중된 관광 인프라를 주변 지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이 다양한 체험과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각 거점별 디자인 방안을 마련하여 포항시만의 정체성을 찾고 도시 품격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배경
1.2. 연구 범위 및 과정
2. 보행 네트워크 개념과 현황
2.1. 보행 네트워크 개념
2.2. 보행 네트워크 필요성
2.3. 보행 네트워크 구성요소
2.4. 보행 네트워크 디자인 방법론
2.4.1. 동선적요소 (보행공간)
2.4.2. 이벤트적 기능 요소 (랜드마크, 복합문화공간)
2.4.3.체험 기능 요소 (체험공간, 체험적 스토리텔링)
2.4.4.서비스 기능 요소 (공공시설)
2.4.5. 가로시설물 요소 (스트리트퍼니처, 유도사인디자인)
3. 대상지 현황 및 분석
3.1. 중앙상가 실개천에서 영일대해수욕장까지 현황
3.1.1. 중앙상가 실개천 일대
3.1.2. 동빈내항
3.1.3. 영일대해수욕장 일대
3.2. 문제점 도출
3.3. 보행 네트워크 구축 전략
4. 접근 유도 보행 네트워크 구축
4.1. 보행 네트워크 경로
4.1.1. 선정 및 디자인 목표
4.1.2. 거리 시설물 재정비 전략
4.2. 거점 지역
4.2.2. 랜드마크 요소 구축 전략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