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endencies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in Terms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dministrators’ Value Orientations and Policy Priorities
초록
영어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examination of what policies have been prioritized by the administrators of NEMA from 2004 to 2013, in which period a total of 6 administrators took the office including the current one, this study examines each administrator’s pursued value orientation and policy priorities in terms of centrality analysis using the language network methodology with the 6 administrators’inaugural addresses as raw data. As a result, we can tell that the first administrator made efforts to buil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 NEMA was launched by adapting developed countries’ disaster management systems for integrating the dispersed systems then. We see that the second administrator tried to construct a novel innovativ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oncentrated on actual scenes because the NAME had been settled in a degree. The third administrator,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an organic and scientific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oncentrated on prevention, and furthermore made efforts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mergency science technology in order to promote the expertise of emergency management. The fourth administrator had a firm will to create public office culture for emergency management in a righteous atmosphere by eradicating corruptions with his belief that civil servants in emergency management are also public workers. The fifth administrator seemed to labor for harmonization and consolidation among civil servants in emergency management as he is the first NEMA administrator who took the office as one promoting from emergency management worker position, furthermore be willing to focus on actual scenes, and moreover reveal his will to progressively cope with climatic changes. The sixth administrator is believed to express his will to make more efforts to national safety and people’s life safety in the dimension of safe welfare suggested b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한국어
이 연구는 2004년 초대 소방방재청장부터 2013년 현재 6대 소방방재청장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청장)별로 어떠한 정책이 우선시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초대부터 6대까지 6명의 소방방재청장의 취임사를 로우데이터(RAW DADA)로 하여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청장별로 추구하는 가치지향과 정책의 우선순위를 중심성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초대 청장의 경우, 소방방재청이 출범을 하면서 분산되어 있는 재난관리체계를 선진국모델로 하여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대 청장의 경우, 초대에 소방방재청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현장을 중심하면서, 새로운 혁신적인 소방방재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대 청장의 경우,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첫 청장으로서 이명박 정부의 실용정부 코드에 맞춰서 소방방재시스템도 실용적으로 구축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여 지며, 예방에 중점을 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에도 중점을 두었고, 아울러 소방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 소방학의 학문적 정립에도 노력을 쏟았다. 4대 청장의 경우, 소방공무원도 공직자의 일환으로써 소명을 가지고 비리를 근절해서 올바른 기풍이 자리 잡는 소방공직 문화를 만들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대 청장의 경우, 현직 소방공무원 출신으로서는 최초의 소방방재청장인 까닭에 소방공무원들의 화합과 단결에 힘 썻던 걸로 보여 지며, 아울러 현장을 중심으로 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기후변화에도 점차적으로 대응해야 된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여겨진다. 6대 청장의 경우, 박근혜 정부 들어 첫 소방방재청장으로써 박근혜 정부가 제시했던 안전복지차원에서 국민안전과 국민생활안전에 보다 힘을 기울이겠다는 의지가 표명된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조사 설계
1. 소방방재청장 취임사를 통한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2. 언어네트워크방법론
3. 분석 대상과 절차
Ⅲ. 분석결과
1. 소방방재청장 취임사에 나타난 핵심주제어 분석
2.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취임사에 나타난 경향성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