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린이집 영아반의 수학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조사

원문정보

The Practices and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s about Mathematics Activities for Infants and Toddlers

김갑순, 이은형, 김남연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and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mathematics activities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33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 and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tivities according to children’s ages, teachers’ career, and center siz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영아반에서 이루어지는 수학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수학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 식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에게 적합한 수학활동이 보육현장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어린이집 영아의 수학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한 후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양적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카이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담당 영아의 연령, 교사 경력, 기관 규모에 따라 수학활동의 실태와 인식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차이 가 나타났다. 영아의 수학활동은 주로 담임교사에 의해 계획되었고,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학활동 횟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교사 및 39인 이하 소규모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영아 수 학활동의 중요성을 포함하여 영아의 발달 특성에 따른 적합한 교육내용과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알려주 는 차별화된 현직교육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영아 수학활동 실태
  2. 영아 수학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갑순 Kab-Soon Kim. 성동구 보육정보센터 센터장
  • 이은형 Eun-Hyung Lee. 백석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김남연 Nam-Yun Kim.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국지윤(2004). 가람 어린이집 유아들의 쌓기놀이에서 경험하는 수학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Two-Year-Old Toddler`s Mathematical Experience and Meaning Through Using Natural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 Activities네이버 원문 이동
  • 3김민경, 홍혜경, 이정욱, 이지현(2006). 유아수학교육의 탐구. 서울: 교우사.
  • 4A Study Correl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with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네이버 원문 이동
  • 5김소연(2007). 쌓기놀이 활동에서 교사의 개입여부가 유아의 연령에 따라 공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6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Actual State of the Test of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네이버 원문 이동
  • 7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8박지희(2010). 만 2세 영아반 역할놀이영역에서의 수학적 경험.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9보건복지부(2012). 2012 보육통계 (2012년 12월 말 기준). 서울: 보건복지부.
  • 10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thematics education네이버 원문 이동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