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등학교 신규교원 선발제도의 개선방안 탐색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김운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has been in effect since 1991 on a basis of open selection. However,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system lacks validity and is used only for teacher selection. Recently, the government improved the examination system in 2012, but it involves more problems even before its implementation. Transparency in the teacher selection of private institutes is not still guaranteed, and too many examination subjects increase the burden of examinees. In particular, as the examination has changed from a short answer type to an essay type, constant controversy on the reliability of grading and the evaluation practicality have been provoked. Therefore, the futur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must be improved to comply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evaluation and functions to elicit gradual improvement so that it helps to implement teacher training education reflecting the reality in education fields. In addition, multiple methods for teacher selection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verify the qualifications of preliminary teachers. In particular, extensive opinions need to be collected so that the 2012 amendment of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ystem directly affects the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한국어

현행 신규교원 임용시험 제도는 공개전형을 원칙으로 199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원임용시험이 시험의 목적에 근거하여 볼 때 타당성이 부족하고, 선발만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국가는 2012년에 신규교원 임용시험 제도를 개선하였으나, 본격적인 시행 전부터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여전히 사립학교의 신규교원 선발에 있어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있으며, 시험과목의 과다로 인한 수험생의 시험 부담이 가중한 편이다. 특히 교육학 과목의 출제 유형이 단답형에서 논술형으로 변경됨에 따라 채점결과의 신뢰도와 평가의 실용도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원임용시험은 평가의 기본 원칙을 준수함은 물론 선발적 기능과 함께 학교현장과 밀접한 교원양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점진적인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또한 예비교원의 자질을 충분히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선발방식을 모색하여야 한다. 특히 2012년 개정 교원임용 시험제도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견수렴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신규교원 임용시험제도의 변천
  1. 신규교원의 채용 방식
  2. 학교 설립 주체별 선발방식
  3. 임용시험 단계 및 과목
  4. 신규교원 임용시험의 기능
 Ⅲ. 신규교원 선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2012년 개정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신규교원 선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운종 Uhn-Jong Kim. 우석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