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이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ffects of welfare-to-work programs that helped welfare recipients promote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focused on social adaptation program for the hardest-to-employ poor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work barriers. This study relied on data from mandatory social adaptation program participants among community self-sufficiency organizations in nationwide from December 2010 to January 2011 in South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As a result, among participants, there were slightly than moderate level on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effects.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 both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whereas that of health service only had positive effect on social self-sufficiency. Also, these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effects differed between the number of needy family in household, type of organiz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to-work program and intervention that target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needs for recipients with work barrier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자활사업의 탈수급․탈빈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활참여자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근로장벽 특성상 자활 효과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정서적, 사회적 자활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활프로그램 중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가장 자활가능성이 취약한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효과 및 그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수행기관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이 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효과와 사회적 자활 효과는 보통 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활의 영향요인으로는 요보호가구원수(-)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자활에는 삶의 만족도(+), 조직유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건강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활사업의 평가와 관련된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자활효과 측정의 필요함을 밝히고 심리사회적 다양한 근로장벽을 지닌 자활참여자 특성에 적합한 통합사례관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지원체계 등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2.1 정서적, 사회적 자활에 관한 논의
  2.2 정서적, 사회적 자활에 관한 영향요인
 3. 연구방법
  3.1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3.2 변수정의 및 측정
 4. 연구분석 결과
  4.1 조사대상의 기술 분석
  4.2 상관관계 분석
  4.3 정서적 자활 및 사회적 자활 영향요인
 5.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은정 Eun Jung Lee.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