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중년여성의 생활습관에 따른 체력과 골밀도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y Lifestyles on Middle-aged Women

이순희, 유재현, 이경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duced exercise habits, drinking habits and salt consumption habits on middle-age women. Using a cross-sectional approach, we studied 331 middle-age women who visited the C health cent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ed on exercise habits(sedentary, exercise less than twice a week and more than three time a week), 3 groups depended on drinking habits(non-drinker, low drinker, high drinker), also 3 groups depended on salt consumption habits(low, middle, high), respectively.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One-way ANOVA were used to assess differences among 3 groups divided on life habits.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5. Exercise hab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MD & % body fat. But another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lso, drinking and salt consumption habi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regular exercise can improve bone health and body fat.

한국어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라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C보건소를 내원한 여성 331명을 대상으로 운동습관에 따라 비운동군, 저빈도운동군(주당 2회 이하 운동), 중정도운동군(주당 3회 이상)으로, 음주습관에 따라서는 비음주군과 저음주군(주당 2회 이하 음주), 고음주군(주당 3회 이상), 염분섭취수준에 따라 저염식이군, 중염식이군, 고염식이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측정변인은 골밀도와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악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으로 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운동습관에 따라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운동습관이 많을수록 골밀도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음주습관과 염분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 및 체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염분섭취가 많을수록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골밀도와 체력유지에 도움을 주며, 고염식이는 체중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2.3 통계처리
 3. 연구결과
  3.1 운동습관에 따른 체력 및 골밀도의 비교
  3.2 음주습관에 따른 체력 및 골밀도의 비교
  3.3 염분 섭취에 따른 체력 및 골밀도의 비교
 4. 논의
 5. 결론
 REFERENCE

저자정보

  • 이순희 Soon-hee Lee. 삼육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경훈 Kyung-Hoon Lee.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유재현 Jaehyun Yoo.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