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목차
[제 보 자 1]
1. 중 빠져 죽은 굴
2. 애도 마을의 당제
[제 보 자 2]
3. 이일이시(二日二時)에 문내월(門內月)이라
4. 첫날밤에 재치 있게 대답한 신부
5. 성(姓)이 ‘차정’이 된 이유
[제 보 자 3]
6. 호랑이도 제 자식 예뻐하면 좋아한다
[제 보 자 4]
7. 시아버지에게 실언한 두 며느리
8. 해삼 때문에 싸운 시아버지와 며느리
[제 보 자 5]
9. 스스로 굿을 해서 살아난 할머니
10. 전처 자식을 죽인 의붓어머니
11. 죽어서 꾸꿍새가 된 처녀
[제 보 자 6]
12. 귀신을 잘 대접하여 부자가 되다
[제 보 자 7]
13. 내섬을 사양리라 부르게 된 내력
14. 사자 형국의 등산
15. 만명통치의 신기한 약수와 선바위
[제 보 자 8]
16. 팔족지지(八足之地)의 묏자리
17. 꽂감장수의 꾀
18. 재치 있게 위기를 모면한 소금장수
[제 보 자 9]
19. 은혜 갚은 두꺼비
[제 보 자 10]
20. 백초 마을에 마(馬)씨가 살지 못하는 이유
21. 아기 장사
22. 나로도 상산의 명당
[제 보 자 11]
23. 아이를 낳아도 열녀가 된 과부
24. 벼락 맞아 죽은 곶감 장수
[제 보 자 12]
25. 외초리 시조 할아버지
[제 보 자 13]
26. 쌍봉과 매봉의 유래
27. 외초의 할머니 당
28. 뱀은 사시(巳時)에 잡지 않는다
29. 중 절터 이야기
30. 조리 장수 귀신
31. 재주 있는 두 형제
32. 삼 정승 삼 판사가 난 묏자리
[제 보 자 14]
33. 놀래서 장사를 그만둔 사발 장수
34. 처가집에서 웃음 산 꼬마 신랑
[제 보 자 15]
35. 밤길에 귀신을 만나다
36. 아들의 가르침으로 효부가 된 며느리
[제 보 자 17]
37. 정성 드린 제사
[제 보 자 18]
38. 좆바위와 창굴
39. 나로도와 봉래산의 명칭이 생긴 유래
40. 신금리의 형세와 호랑이 바위
41. 각시 애터와 등잔굴
42. 기준이 하반 갔다 왔다
43. 명씨 가문의 효자
[제 보 자 19]
44. 끈질기게 쫓아온 귀신
彙報
1. 중 빠져 죽은 굴
2. 애도 마을의 당제
[제 보 자 2]
3. 이일이시(二日二時)에 문내월(門內月)이라
4. 첫날밤에 재치 있게 대답한 신부
5. 성(姓)이 ‘차정’이 된 이유
[제 보 자 3]
6. 호랑이도 제 자식 예뻐하면 좋아한다
[제 보 자 4]
7. 시아버지에게 실언한 두 며느리
8. 해삼 때문에 싸운 시아버지와 며느리
[제 보 자 5]
9. 스스로 굿을 해서 살아난 할머니
10. 전처 자식을 죽인 의붓어머니
11. 죽어서 꾸꿍새가 된 처녀
[제 보 자 6]
12. 귀신을 잘 대접하여 부자가 되다
[제 보 자 7]
13. 내섬을 사양리라 부르게 된 내력
14. 사자 형국의 등산
15. 만명통치의 신기한 약수와 선바위
[제 보 자 8]
16. 팔족지지(八足之地)의 묏자리
17. 꽂감장수의 꾀
18. 재치 있게 위기를 모면한 소금장수
[제 보 자 9]
19. 은혜 갚은 두꺼비
[제 보 자 10]
20. 백초 마을에 마(馬)씨가 살지 못하는 이유
21. 아기 장사
22. 나로도 상산의 명당
[제 보 자 11]
23. 아이를 낳아도 열녀가 된 과부
24. 벼락 맞아 죽은 곶감 장수
[제 보 자 12]
25. 외초리 시조 할아버지
[제 보 자 13]
26. 쌍봉과 매봉의 유래
27. 외초의 할머니 당
28. 뱀은 사시(巳時)에 잡지 않는다
29. 중 절터 이야기
30. 조리 장수 귀신
31. 재주 있는 두 형제
32. 삼 정승 삼 판사가 난 묏자리
[제 보 자 14]
33. 놀래서 장사를 그만둔 사발 장수
34. 처가집에서 웃음 산 꼬마 신랑
[제 보 자 15]
35. 밤길에 귀신을 만나다
36. 아들의 가르침으로 효부가 된 며느리
[제 보 자 17]
37. 정성 드린 제사
[제 보 자 18]
38. 좆바위와 창굴
39. 나로도와 봉래산의 명칭이 생긴 유래
40. 신금리의 형세와 호랑이 바위
41. 각시 애터와 등잔굴
42. 기준이 하반 갔다 왔다
43. 명씨 가문의 효자
[제 보 자 19]
44. 끈질기게 쫓아온 귀신
彙報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