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이론ㆍ분석

2000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서사(구조)에서 ‘감독-나’의 기능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The Director Appearing in the Film as Oneself i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이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ill deal with the changes that are brought about in the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by the recent trend in which the director appears as himself or herself within the film. This phenomena of a director appearing in the film as oneself is a concept that deviates away from the traditional documentary filming, which puts strong emphasis on realistic representations, but coincidentally, this new trend indicates that the boundary of documentary filming is expanding. First, the presence of a director, who used to only exist outside the screen, breaks the boundary between a finished film and the actual process of production. Consequently, the narration of the subject and the narration of the director are both transcribed into the documentary. The point of note here is that documentary film making should no longer be understood as just capturing the subject but one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intention and the vantage point of the director.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director in the film allows the director and the subject of the documentary to be on equal terms and hence it opens new possibilities in directing through interactions and interventions. Furthermore, director’s presence in the film not only creates a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but as oneself, director could try to influence the viewers of the documentary directly. Documentaries are no longer about directors telling a story by only capturing a subject but instead now directors try to convey and communicate with the viewers by capturing the subject with intentions and opinions of the director heavily incorporated into the film. This can be seen even in the timeline of the documentary. By deliberately synchronizing the real time of the viewers with that of the director himself, the documentary is viewed as events in the past that ends closer to the present time. The appearance of a director within a documentary film is more than just a new form of storytelling or a filming technique;in fact it can be viewed as pushing the boundaries of documentary filming by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 subject and the viewers in a completely new way.

한국어

본고는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의 서사구조에서 감독이 서사의 가시적인 주체로 등장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의 변화의 지형을 살펴본다. 감독이 화면 내 나로 등장하는 하는 양상은 전통적인 다큐멘터리 영화의 리얼리즘적 관습에서 벗어나 다큐멘터리 영화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우선, 화면 밖에 존재하던 감독이 화면 내 등장함으로 인해 영화는 안과 밖의 경계가 해체되고, 이로 인해 작품과 제작 과정의 경계도 모호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 영화는 대상의 서사와 대상을 기록하는 감독의 서사가 동시에 기입된다. 이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더 이상 찍히는 대상만을 담는 것이 아니라 찍는 감독의 시선에 주목하는 되는 지점이다. 두 번째로 화면 감독의 등장은 화면 내 대상과 동등한 위치를 만들어냄과 동시에 화면 내 상황을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불러와 새로운 방식의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화면 내 감독은 대상과 관계뿐 아니라 ‘나’의 설정으로 인해 화면 밖 관객과의 소통을 직접적으로 시도한다. 다큐멘터리 영화는 이제 감독이 대상을 통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감독이 관객과 바로 소통하는 방식으로 나가 등장한다. 이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시간 구성에서도 읽혀진다. 감독은 나의 위치를 영화 밖 현재 시간에 있는 관객의 위치와 일치시키면서 영화의 구성을 현재에서 과거로 들어가 회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다시 시작하는 지점보다 더 현재로 나와 영화를 매듭짓는다. 이처럼 감독의 화면 내 등장은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재현 양식이나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차원을 넘어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역의 확장 나아가 감독-대상-관객의 구도까지 재편성하는 맥락으로 읽혀질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다큐멘터리에 대한 다큐멘터리
 3. ‘감독-나’의 이야기
 4. 관객의 이야기
 5. 시간의 이야기
 6.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민 Lee, Seung-Min. 가톨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