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s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mpare the effects of CSR and CSV.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message involvment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how corporate campaigns enhance consumers' perceptions. As expected, CSV activities as opposed to CSR activities produced higher corporate reputaton, brand attitude,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ity. While the CSV activitie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SR activities in general,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more prominent for the subjects in the high self- efficacy condition. Message involvment, however,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CSR and CSV on the dependent variables. While there is a plethora of studies on the effects of CSR activities, ther are not many articles of the effects of CSV tha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oth from the professionals and academics. This study offers a rare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CSV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이 기업의 사회 적 책임활동(CSR) 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업의 활동들이 효과를 발휘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자 기효능감과 관여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가설에서 예상했던 대로 사회책임성인식, 브랜드태도, 기업-소비자 동일시, 진정성 등 모든 종속변인들에서 CSR 활동보다 CSV 활동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피험자들이 전반적으로 CSR 활동보다 CSV 활동을 높게 평가했지만, 이 차이는 자기효 능감이 높은 피험자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관여도는 CSR 활 동과 CSV 활동의 평가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SR 활동의 내·외부적 마케팅 효과에 관한 연구는 그간 많이 발표되었지만 최근 광고학 계와 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CSV 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 정이다. 본 연구는 CSR 활동과 CSV 활동 간의 효과 비교에 관한 초기 연구로써, 소비자 가 CSR 활동보다 CSV 활동을 더 높이 평가한다는 것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문헌연구
1) CSR과 CSV
2) CSR의 효과
3) 소비자 인게이지먼트와 CSV활동
3) 자기효능감
4) 메시지처리 관여도
3.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3) 측정 변인 및 항목들
4. 연구결과
1) 피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변인들의 신뢰도 및 타당도
3) 가설의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The Effect of Government Employee Self-efficacy on the Job Performance네이버 원문 이동
- 2판매원의 서비스는 꾸며진 것인가? 진정한 것인가? : 판매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authenticity)이 서비스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네이버 원문 이동
- 3김세중·박의범·Tsong Khulan (2012). 한국기업 CSR 활동의 공유가치창출에 관한 실증연구. 2012 로고스 경영연구, 10(4), 1-28.
- 4Study about the Cause Related Marketing네이버 원문 이동
- 5A Study ab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네이버 원문 이동
- 6내일신문 (2011). 사회친화적 활동, 초일류기업의 가늠자내일신문 2011-6-30일자 기사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611938&sid=E&tid=5
- 7대한상공회의소 (2012). 기업 호감도(CFI) 조사 2011,2012,서울: 대한상공회의소
- 8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Consumer’s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National Coffee Franchise -네이버 원문 이동
- 9배현미 (2008). 기업의 사회책임활동(CSR)이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2008(0), 1-28.
- 10부산일보 (2012). 문재인·민주당 지지자 ‘정치효능감’ 더높아, 2012-11-22자 기사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21122000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