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7량가 후퇴칸형 주불전에 있어서 예불공간의 종축 단면비례 특성 - 예외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oportional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Section of Worship Space in 7 Ryangga Hutoekan Type of the Central Hall of Buddhist Temple

김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section proportion which is formed by depth and height of worship-space where direct doctrines are delivered in the central hall Buddhist temples worship-space with 7 Ryangga Hutoekan Types(the plane type whose interior columns are only situated behind). Study results show general ratio of 1 : 0.66 in longitudinal-section proportion. But, there are some cases which have a proportion of 1 : 0.83 even though the spaces have central hall Buddhist temples worship-spaces with 7 Ryangga Hutoekan Types. This study is to be executed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xceptional cases with these targeting spaces which have such square proportion in longitudinal-se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relatively small depth in comparison with height in worship-space forms square proportion. In addition, structural problems that can arise from omitting Naemok-dory(inner beam) are resolved by using chadu-column(借頭柱) method or by narrowing the depth and thus lightening the weight of upper load. And by slanted ceiling, the visual line can be induced from girder to the ceiling, thus attempting to form a square proportion close to 1 : 1.

한국어

불단을 중심으로 의식행위가 이루어지는 예불공간은 내주(內柱)에 의해 구획되는 깊이와, 1차적인 시선이 차 단되는 대들보 하단까지의 높이, 즉 종축 방향의 단면비례에 따라 공간적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선행 연구 결 과, 가구형식에 따라 5량가의 종축 단면비례는 거의 정방형에 가까워 상승감을 주로 보였으며, 7량가는 장방 형의 모습으로 깊이감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로, 깊이와 높이의 비가 1:0.66으로 깊이감이 있는 장방형 비례를 나타내고 있는 7량가 후퇴칸형 주불전의 예불공간과 달리 5량가와 같이 거의 정 방형에 가까운 1:0.83의 단면비례 갖는 예외 사례인 하동 쌍계사 대웅전, 논산 쌍계사 대웅전, 완주 송광사 대 웅전 3건을 대상으로, 이들 예불공간의 단면비례 특성을 살펴본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불공간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 불단후주를 배면까지 최대한 밀어내는 것이 보편적인데 반해 논산 쌍계 사 대웅전은 일정 거리만을 띄웠고, 하동 쌍계사는 이주하지 않은 차두주 방식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예불공간 의 깊이를 확보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7량가 후퇴칸형 주불전에서 나타나는 깊이감 보다는 대들보에 의해 형 성되는 상승감이 강조되어 정방형에 가까운 예불공간을 형성하게 되었다. 둘째, 상대적으로 작은 예불공간의 깊이로 말미암아 주심도리와 중도리 사이에 있는 내목도리의 생략이 가능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불안정함은 이주의 폭을 줄이거나 빗천장을 두어 공포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해결하고 있었다. 셋째, 대들보와 천장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1차적인 시선이 대들보 하단에서 머무르지 않고서, 우물천장으로 자연 스럽게 유도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예불공간의 천장까지의 단면비례는 3건의 예외 사례에서 모두 깊이와 높 이의 비가 1: 1 이상으로 더욱 상승감 있는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7량가 후퇴칸형 주블전 예블공간의 종축 단면비례
  2.1 평면상의 특징
  2.2 단면상의 특징
  2.3 예불공간의 단면비례
 3. 정방형 단면비례를 갖는 예외 사례
  3.1 하동 쌍계사 대웅전
  3.2 논산 쌍계사 대웅전
  3.3 완주 송광사 대웅전
 4. 정방형 단면비례의 예불공간 특성
  4.1 깊이에 비해 대들보 하단 높이의 강조
  4.2 내목도리의 생략
  4.3 대들보에서 우물천장으로서의 시선 유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영 Kim, Tai-Young. 청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