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문보도를 통해 살펴본 전통목조건축 화재의 실태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ire Accidents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by Surveying Newspaper Reports

이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cases of fire accidents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by surveying newspaper reports. The analysis involves frequency and causes of fire occurrence, and process of extinguishing fire. The number of newspaper articles surveyed for this study was 244, which was reported from 2001 to 2013 in South Korea. The results after analyzing 50 cases of fire accidents are as follows; 1. Fire accidents frequently occurred in spring, on Mondays, and in the middle of nights. The frequency of fire occurrence was relatively high in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 The main causes of the fire were arson(46%) and electricity(28%). 2. The types of buildings where fire broke out frequently were buddhist temples(56%) and private houses(22%). About half of these buildings were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ies, which were repaired or restored before the Korean war. 3. Arsonists were mainly male aged between 30 and 50. About half of arson causes were originated from trouble or discontent with staffs of temples, and the other causes were venting of one's anger or from mental illness. 4. The cases which lost an entire building occupied 58% of fire accidents, among 50 fire cases investigated. Activities to extinguish fire were turned out to be very difficult in cases of buildings located in mountain area, mainly because the fire engine was not easy to enter there. 5. Around 80% of articles reporting a fire accident were posted just once. The fire accidents which were reported more than 10 times were 7 cases; Sungnymun gate, Naksan buddhist temple, and Hwaseong Seojangdae pavilion, etc.

한국어

본 연구는 각종 신문보도로부터 전통목조건축 화재사고에 관한 기사들을 찾아내 정리한 후, 화재의 발생빈도, 발화요인, 진압과정 등을 분석한 것이다. 수집된 신문기사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보도된 것으로 총 244건에 달한다. 그리고 신문에 실린 총 50건의 화재사고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화재사고는 각각 봄, 월요일, 야간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경기도와 경남지역에 상대적으로 발생건수가 많다. 화재원인은 방화(46%)와 전기(28%)에 의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2.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유형으로는 사찰(56%)과 주택(22%)이 많았으며, 약 절반이 문화재로서 한국전쟁 시작(1950) 이전에 최종 개수 또는 복원된 것이다. 3. 방화자는 남성으로서 30세에서 50세 사이가 많고, 방화이유의 절반은 사찰 관계자에 대한 갈등이나 불만에서 유발된 것이며, 나머지 절반은 개인적인 화풀이나 정신질환에 의한 것이었다. 4. 화재사고 50건 중에서 58%는 건축물이 전부 소실된 경우이며, 건축물이 산지에 위치할 경우는 소방차 진입 곤란으로 원활한 소방활동이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5. 동일 화재사고에 대한 신문보도는 약 80%가 1회에 그쳤으며, 10회 이상 보도된 화재사고로는 숭례문, 낙산사, 화성 서장대 등의 7건이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의 고찰
 2. 화재사고 발생내역
 3. 화재발생 빈도 및 건축물
  3.1 화재발생 시기
  3.2 화재발생 건축물
 4. 화재발생 요인 및 진압과정
  4.1 발화요인
  4.2 진압과정
 5. 화재사고 신문보도 고찰
 6. 총괄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동희 Lee, Dong-Hee.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부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