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무소진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dification Variabl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Job Burnout by Self Efficacy

이원일, 정수진, 방한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and variables were selected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based on past empirical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job burnout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Second,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 on lessening job burnout should be introduced. Third, individual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working process of employees. Fourth,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anagement of job burnout ends up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들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서적 탈진이 성취감 감소로 이어져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서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영향력(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 감소)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자기효능감의 근로자는 자신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할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서 직무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직무소진을 조직적 차원에서 제고하고 형평성이 확보된 평가와 보상, 신뢰구축을 위한 시스템구축, 개인차에 따른 교육훈련 및 자기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서 체계적인 직무소진 관리전략이 요구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설정
  1. 직무소진의 개념 및 구성요소
  2. 직무소진과 조직성과
  3.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모형 및 분석기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Ⅳ. 가설검증
  1. 가설 1의 검증
  2. 가설 2의 검증
  3. 가설 3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일 Lee won Il. 원광대학교 대학원
  • 정수진 Chung, Soo Jin. 원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방한오 Bang Han Oh. 원광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