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제2차 구술문화 시대의 설교를 위한 청취(聽取) 해석학의 필요성

원문정보

The Need of a Hermeneutics of Hearing for the Preaching of Secondary Orality Culture Ara

김대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some reasons for obstacles to hearing God’s words from Scripture in secondary orality culture which came after writing and print culture.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is the thinking ways of preachers within the writing and print culture with th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econdary orality culture. Many comtemporary preachers have both linearly reader-centered thinking ways as a weakness of writing -print culture and present-mindedness by the effects of spatial bias media as a weakness of secondary orality culture. As a result, preachers cling to reader-centered information gathering rather than communication with the words of God through reading Bible. This tendency causes a paradoxical situation as no communication with the words of God in the excess of preaching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 concentration on the hearing of the words of God, many contemporary preachers cannot help wandering over sea of information for preaching as speaking of the presen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earing culture as positive characteristic in aural and secondary orality for the problem solving. Although there are some negative side effects in secondary orality culture era, we can find out a positive side of hearing community in the new era. The hearers of secondary orality culture era have a desire for hearing with personal relationship rather than information or knowledge transfer. Then contemporary preachers need to move from present-mindedness and spatial extensions on toward a hermeneutics of hearing. A hermeneutics of hearing is not a matter related to methodology but to philosophy. We need a hermeneutics of hearing as a new direction which transfer our preaching from self -centered to other-centered, from a clergy system to a laity system, and from individualism to communality.

한국어

문자와 인쇄문화 (writing and print culture)"와 그 이후에 등장한 "제2차 구술문화(secondary orality culture)" 의 복합적인 영향들 가운데, 설교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못하게 하는 요인들이 있다. 제2차 구술 문화를 피상적으로 이해한 채 문자인쇄 문화의 틀 속에 머물러 있는 설교자들의 사고방식이 그 중요한 요소가 운데 하나이다. 오늘날의 많은 설교자들은 문자 인쇄문화의 약점이라 할 수 있는 독자 중심의 선형적 사고 구조와 제2차 구술 문화의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공간편향적인 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한 현재집착심리를 모두 가지고 있다. 그 결 과 설교자들은 성경 읽기를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과 소통하기 보다는 독자중심의 정보수집에 더욱 집착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설교 소통의 과잉 속에서 정작 하나님의 말씀은 소통되지 않는 역설적인 상태를 초래한 다. 하나님의 말씀 듣기에 집중하기 보다는, 눈앞에 닥친 말하기로서의 설교를 위해 정보의 바다를 헤맬 수밖 에 없는 것이 오늘날 많은 설교자들의 현실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2차 구술문화시대의 긍정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청취 문화를 주목할 필요 가 있다. 2차 구술문화 시대에 몇몇 부정적인 측면들이 있을지라도, 청취 공동체가 형성되어 간다는 점에서 긍 정적인 면을 발견하게 된다. 제2차 구술문화 시대의 청중들은 단순히 정보와 지식의 전달을 원한다기 보다는, 인격적 관계 속에서 듣고자 하는 갈망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설교자들은 정보 전달의 공간적 확 장성과 현재집착심리에서 떠나 청취 해석학(a hermeneutics of hearing)을 향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청취 해 석학은 설교의 방법론이라기보다는 철학적 문제이다. 자기중심에서 타자중심으로, 설교자중심에서 말씀을 듣 는 당사자인 평신도 중심으로, 개인주의에서 공동체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나아가는 청취 해석학의 방향성이 필요한 시대이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제2차 구술문화시대의 도래
  2. 제2차 구술문화시대 설교자들의 소통방식과 그에 대한 문제점
  3. 제2차 구술문화 시대의 설교사역의 방향성
  4. 하나님의 말씀이 소통되는 설교 : 청취 해석학을 향하여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대진 Kim, Daejin. 고려신학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