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리학과 종교 : C. G. 융의 사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Psychology and Religion : Focused on the Thought of C. G. Jung

김성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alytical psychologist C. G. Jung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religion which is the immediate expression of the soul for the mental health of human being in the modern society. According to its terms, the spiritual decline of modern society and moderns’ spiritual problems arise from serious problems in religious life of the moderns themselves. C.G Jung presented at the Gifford Lecture of Yale University in 1937, one of his client who was suffered from a neurosis due to a spiritual impoverishment. There he said that it is not only the problem of his client but also the problem of the moderns in general, and insisted that it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image of God proclaimed by modern church can not satisfy the need of the moderns. While the moderns demand the image of God that can integrate the inner division, the image of God of modern church is different from it. So the moderns suffered a lot. C.G Jung said that his client was cured after having seen the mandala of the quarternity in the vision and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a new image of God which can integrate the inner division of the moderns. He thought that there is an archetypal totality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human being. According to C.G Jung, human being assumes an image of God in order to grasp the transcendent God as he/she cannot get it directly. But the Trinitarian image of God proclaimed by Christianity is no longer suitable for the moderns. Meanwhile Jung did not deny the metaphysical God. He only distinguishes the Godhead which is the essential part of God from the God which is the object of the devotional life of human being. As a consequence he proclaimed the necessity of the shift of the image of God. According to Jung most of the modern spiritual anguish lies on the unsuitable image of God which defeat the needs of the moderns. In the meantime, Jung’s opinion was ignored or rejected by the Christian theologians, and the church went empty. So the church, we think, should talk with him in order to cure the modern spiritual anguish. As a matter of fact, the image of God continued to change as time goes by. But, now many christians lose the vitality and joy in their devotional life in these days. We know that the religiosity of human being was active when human civilization blossomed fully. But we cannot see it in the modern society.

한국어

분석심리학자 C.G.융은 종교는 인간 영혼의 자발적 표현으로서 인간의 정신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역 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의 영적 상황이 피폐해 있고, 현대인들이 정신적인 문제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면 그것은 현대인들의 종교생활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융은 그가 1937년 미국 예일대학교의 초청으로 심리학과 종교에 관해서 강연을 할 때, 그가 치료했던 환자 가운데 한 사 람의 꿈을 분석하면서 현대인의 종교적 문제에 관해서 고찰한 바 있다. 그때 융은 그 환자의 경우는 그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당하는 고통이라고 주장하면서, 그의 문제는 현 대 사회에서 종교가 너무 세속적으로 되었고, 현대 교회가 제시하는 신의 이미지가 그들이 무의식에 서 요청하는 신의 이미지와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현대인들은 그들의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분열적인 것들을 통합시켜주는 신의 이미지를 요청하는데 현대 교회는 그것에 맞는 이미지를 제 시하지 못해서 내적 분열을 통합하지 못하여 고통을 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융은 그의 환자가 환상 속에서 본 사위일체적 만달라상을 통하여 지극한 조화감을 느끼면서 신경증에서 치유되는 것을 보고, 인간의 무의식에는 사람들이 신에게 투사시키는 원형적인 전체성이 있으며 그것을 매개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신의 이미지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사람들 은 초월적인 신에게 다가갈 수 없어서 신의 이미지를 설정하고 종교생활을 하며, 신의 이미지는 무의 식 속에 있는 자기의 투사상인데 현재의 삼위일체적인 이미지는 이제 더 이상 현대인들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융이 형이상학적 신을 부정한 것은 아니다. 그는 독일의 신비가 엑카르트를 따 라서 신과 신의 이미지를 구별하면서,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는 신의 이미지의 현대적 변화를 주장하 였던 것이다. 융에 의하면 현대인의 영적 고뇌는 많은 부분 그들을 내면의 깊은 곳으로 이끌어주지 못 하는 신의 이미지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이 올바른 이미지를 통해서 그들 영혼의 깊은 곳에 다 가갈 때 그들은 좀더 역동적이고 통합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융의 주장은 기독교 신학에서 그 동안 배척되거나 무시당해 왔다. 그러면서 교회는 그 동안 비 어가기만 했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은 이제 더 이상 융의 주장을 무시할 것만이 아니라 대화를 해야 하리라 생각된다. 왜냐하면 종교사적으로 볼 때 신의 이미지는 계속해서 변화되어 왔으며, 사람들이 종교적으로 안정되었을 때 인류의 문명은 찬란한 종교문화를 이루어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앙을 잃 어서 신경증에 걸린 사람들에게 분석심리학은 많은 도움을 주어 왔기 때문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 무의식의 자율성과 종교
  1. 종교에 대한 융의 태도
  2. 콤플렉스와 종교
  3. 정신의 발달과 종교
  4. 세속화된 교회와 융의 환자
 II. 도그마와 자연적 상징
  1. 현대 사회와 도그마의 상징적 의미
  2. 사위성과 전체성의 상징
 III. 자연적 상징의 역사와 심리학
  1. 만달라의 환상과 전체성의 상징
  2. 가운데가 빈 만달라와 현대인의 문제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민 Seongminne Kim. 협성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종교와 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