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견신례/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의 이해

원문정보

A study of Confirmation or Reaffirmation of the Baptismal Covenant

김현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basic ritual Christian initiation builds up participants new identity and enable people establish community value and their own tradition. Love of God, which can be revealed in Christian initiation, involves multiple levels and symbols. While God has established his people's identity as the people of covenant by initiation, human nature has easily broken this divine covenant. Contemporary Christians, therefore, have lived every day, forgetting God’s promise and given identity achieved by baptism and Holy Commun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spiritual amnesia,’ people hardly need regularly renewed baptismal covenant, which we should consider renewal always. As reaffirmation of Christian identity, various forms of confirmation have been practiced. Renewal of confirmation or reaffirmation of baptismal covenant can be suggested as an ideal form to fol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ason that reaffirmation of the baptismal covenant can be practiced in church. For this I will examine biblical texts for confirmation, historical background, reformers’ understanding, and the process in which initiation separated from the united form of liturgy. Proper theological analysis makes it possible to apply baptismal reaffirmation into the church's liturgy at regular basis. Robert L. Browning and Roy A. Reed who follow Max Thurian’s idea are main scholars in this area. Browning and Reed’s understanding, confirmation can stand as a sacrament, which, like the Eucharist, can and should be repeated when the faith of the person is tested, stretched, and matured as experience of life unfold. To see confirmation or Reaffirmation of the Baptismal Covenant as a sacrament deepens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rite and preparation for it as a genuine celebration of and commitment to the reception of God's grace and guidance in the call to ministries of the body of Chris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confirmation is not the sacrament, yet it stands between baptism and the Holy Communion. This means baptism is the rite administered only once, on the contrary Eucharist has been celebrated repeatedly as a renewal covenant of community and personal mark. In relation to its repetitive nature of sacrament, confirmation represents one of the reaffirmations which we should have done frequently in our lives. Thus confirmation can be practiced repeatedly. Baptismal renewal rite which is not familiar with Korean Protestant churches will be introduced and tried adaptation in Korean churches after biblical and historical examination in this article.

한국어

기독교의 입문예식에 참여하는 사람은 이를 통해 새로운 자기를 발견하고 스스로 공동체의 가치나 전 통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한다. 기독교 입문예식(Christian Initiation)에서 가시적 으로 표현되는 하나님의 사랑은 다양한 단계와 상징행위들을 포함한다. 하나님은 기독교 입문예식을 통해 인간에게 언약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했지만, 인간의 연약함으로 인해 그 언약은 자주 깨어 졌다. 그 결과 현대의 기독교인들은 세례 성례전과 성찬 성례전을 통해 맺어진 하나님과의 언약과 정 체성을 과거처럼 유지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즉, ‘영적건망증’ 상태에서 살고 있는데 그에 반해 정기적인 언약갱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늘 새롭게 갱신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 회복을 통한 언약갱신의 방법으로 일차적으 로 견신례에서 다양한 형태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런 이들로부터 견신례/세례의 갱신, 세례언약재확 인 예식은 좋은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된다.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이 목회현장에서 필요한 이유를 밝히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견신례의 성경적인 근거, 역사적인 전개, 종교개혁자의 견신례 이해를 통해 연합된 입문예 식이 분리된 예식으로 자리매김하는 근거를 설명한다. 이어서 견신례의 신학적 이해를 통해 반복 가 능한 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의 목회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로 막스 튀리앙(Max Thurian)의 사상에 근거한 브라우닝(Robert L. Browning)과 리이드(Roy A. Reed)가 있다. 브라우닝과 리이드에 의하면 견신례는 성찬 성례전과 마 찬가지로 삶의 여러 단계에서 신앙이 검증되고 성숙될 때 반복될 수 있고 또 반복되어야 하는 하나의 성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견신례 혹은 세례의 확증, 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을 하나의 성례로 보는 관점은 견신례를 그리스도의 몸의 사역으로 우리를 부르시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도를 진정으로 경축 하고 그 부르심에 헌신으로 응답하는 사건으로서 이해하고 경험하게 할 수 있다. 견신례는 신학적으 로 성례전이 아니며, 세례 성례전과 성찬 성례전 사이에 위치한다. 그 의미는 세례 성례전은 일회성이 강조되는 사건이고, 성찬 성례전은 공동체의 언약갱신과 개인적 표식이 순환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가 능하기 때문에 그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이다. 성찬 성례전의 순환적 본질을 고려할 때 견신례는 사람 이 살아 있는 동안 계속될 순례의 과정에서 수없이 가져야 할 언약갱신의 하나를 대표하게 된다. 따라 서 견신례는 반복이 가능하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에 생소한 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을 바르 게 이해하게 될 것이며, 성경적이고 역사적인 접근을 통해 현대교회의 바른 적용의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세례언약재확인 예식의 필요성
 III. 견신례/입교(conformation)의 역사적 이해
  1. 신약성경에서의 견신례
  2. 초기 교회의 입문예식
  3. 견신례의 기원과 역사
 IV. 견신례/입교의 신학적 이해
  1. 견신례/입교와 성례전
  2. 견신례/입교와 세례
  3. 견신례/입교와 성찬 성례전
  4. 현대 견신례의 흐름과 다양한 형태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애 Hyunae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겸임교수/ 실천신학/ 예배와 설교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