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Interpersonal Factors on the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Identification in Korean Firm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mpirically find out the great influence of the generosity and righteousness as Korean traditional interpersonal factors on organiza- tional justice and identification in Korean firms. The concret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traditional interpersonal factors are very determinate ones in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formation of identification. Second, the traditional interpersonal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mpletely contribute to their systems through their organizational justice, especially procedural justice. Third, the greater part of subordinates'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one are affected by their managers'generosity rather than righteou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important implication that researchers and managers should have a greater interest in the traditional interpersonal ones than reward distributive determinants that they have studied to achieve organizational justice and identification in Korea until recently. Fi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are described.
한국어
본 논문은 인(仁)과 의(義)이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대인관계적인 요인이 집단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지각과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들이 밝혀졌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대인관계적인 요인들은 조직공정성과 조직동일시의 지각에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요인들이다. 둘째, 조직동일시는 대인관계적인 요인들이 조직공정성 그중에서도 특히 절차공정성을 매개로 하여 형성된다. 셋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의(義)보다는 인(仁)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아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직동일시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들이나 실무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켜온 보상분배적인 요인들보다 전통적으로 중시해온 대인관계적인 요인들이 훨씬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목차
I. 연구목적
II. 이론적인 고찰
2.1 대인관계적인 요인과 조직동일시
2.2 대인관계적인 요인과 조직공정성 지각
2.3 조직공정성 지각과 조직동일시
III. 연구모델과 가설의 설정
3.1 연구모형
3.2 가설의 설정
IV. 연구방법 및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측정 및 분석 방법
4.3 측정모형의 타당성 평가
4.4 가설의 검증
V. 결론 및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