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에 관한 연구 - 일반서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illokhyeongjian in the 17th-Century Jeoksangsansago Library - Focused on General Books -

안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chased the book collection and change of general book stored in the libraries of Joseon Dynasty by reviewing the general collection of 36 volumes of the 17th-century Sillokhyeongjian. The brief history of Jeoksangsansago says that it was built in 1614, but all the real records except for newly written Seonjosillok were still stored in Myohyangsan mountain up until January 1633. The time when all the other records were completely transferred to Jeoksangsansago, was in 1634. Many Sillokhyeongjian books of Jeoksangsansago were written on an irregular basis, of which purposes were inspection, caring, storage, reading and transcription; most of them were written by Bonggyo Daegyo and Geomyeol officers of Yemungwan, while Dangsanggwan and Gisagwan officers of Chunchugwan were sent and wrote together when its purposes were storage, reading or transcription. 34 general books of Myohyansan Library and newly made 9 general books formed the collection of Jeoksangsansago. Every general book of Myohyansan Library was moved into Jeoksangsansago, we confirmed. However, 97 books stored at Yeongbyeonbu Library where the records of the early 17th century is temporarily stored, were not moved to Jeoksangsansago via Myohyansan Library. The number of general books at Jeoksangsansago kept increasing since then. 34 books in 1634 drastically increased to 149 in 1696. Beginning from religious books from the beginning, it enlarged to detailed record books and even to private works. Beside, many books were removed from the list at the same time, and then added again at the next Hyeongjian, several times. Through this fact, we would be able to know that the place was not just to store the books and the books were not just stored but actively used. This study as a beginning, would be able to figure out the overall change of royal book collection at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it is integrated by the study on Sillokhyeongjian possessed by Gyujangjak, and the consecutive studies o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recise date of such work would be useful to check out the present collection of Jangseogak and Gyujanggak, as a very important tool to definitely rearrange the current list.

한국어

본 연구는 17세기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 36건에 수록된 일반 서책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조선 시대 사고에 소장된 일반서책의 장서 구성과 변동 상황을 추적한 연구이다. 먼저 적상산사고의 연혁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적상산사고는 1614년에 설치되었지만 새로 편찬한 선조실록을 제외한 나머지 실록들은 1633년 1월 이전까지 여전히 묘향산에 보관되어 있었다는 사실 을 밝혀낼 수 있었다. 나머지 실록들이 적상산사고로 완전히 이안한 시기는 1634년이었다. 적상산사고의 여러 「실록형지안」들은 정기적인 간격을 두고 작성되지 않았고 작성목적으로는 포 쇄, 봉심, 봉안, 고출, 등출 등을 들 수 있으며, 대개는 예문관 봉교, 대교, 검열이 작성하였지만 형지안 의 작성목적이 봉안, 등출, 고출일 때는 춘추관 당상관과 기사관이 함께 파견되어 작성하였다. 묘향산사고에 소장되었던 일반서책 34건과 새로 만들어진 적상산사고의 일반서책 9건이 합쳐져 서 적상산사고의 장서를 형성하게 되었다. 묘향산사고의 일반서책이 하나도 빠짐없이 적상산사고로 옮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17세기 초 실록이 한때 봉안되었던 영변부사고에 소장되어 있던 서책 97건은 묘향산사고를 거쳐 적상산사고로 옮겨지지 않았다. 적상산사고의 일반서책은 형성된 후 그 숫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34년 34건이던 것이 1696년 149건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처음에는 경전류가 중심이 되다가 의궤류가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개인의 문집류도 봉안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다수의 서책이 한꺼번에 목록에 서 삭제되었다가 다음 형지안에서 목록에 추가되는 현상도 여러 차례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고가 단순히 서책을 봉안하기만 하는 장소가 아니었으며 사고에 소장된 서책들도 사장된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출발점으로 18세기와 19세기에 대한 연구를 이어서 수행하고 아울러 규장각 소장 「실록 형지안」에 대한 연구까지 종합한다면 조선후기 왕실 도서 변동의 전체상을 그려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구체적 데이터들은 장서각과 규장각의 현전본 장서를 점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뿐만 아니라 기존 목록에서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던 부분을 재정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서 활용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배경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적상산사고의 연혁
  2.1 적상산사고 설치 이전 사고들
  2.2 적상산사고의 설치와 서책 이안
 3.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의 현황
  3.1 작성 시기
  3.2 작성 목적
  3.3 작성자
 4. 「실록형지안」을 통해 본 일반서책의 구성과 변동
  4.1 적상산사고 일반서책의 형성과정
  4.2 적상산사고 일반서책의 변동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미경 Ahn, Mi-Kyung.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