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제비장전』대장경 판본의 저본과 판각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Jeobon and Pangak of the Panbon for Tripitaka, Eojebijangjeon

柳富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 of panbon, jeobon, and pangak for Tripitaka, Eojebijangjeon. To put it briefly is as in the following. 1) There are two kinds of panbon in Tripitaka Kai bao chobon of Eojebijangjeon. One consists of the total 20 volumes and the other is total 30 volumes.: (1) The former is composed of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published in 988 and supplements(Eojebulbu and Jeonwonga). (2) The latter is formed with the first volume through the 20th for total 30 volumes instead of the 20th for the total 20 volumes after 989 or since then. And after it made the supplements for the total 20 volume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21st volume, it is completed by organizing other eoje into the 22nd through 30th. (3)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and the 20th volume in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are the same panbon as the first through 20th volume for the total 20 volumes. In other words when the total 20 volumes is made into the total 30 volumes with other eoje, the whole gyungpan of the former is accepted into the first to 20th of the latter as it is. 2)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is from the wood plate of Tripitaka Kai bao which is corrected and filled after Tripitaka Kai bao chobon is compared, straightened out, and then rectified. 3) It is thought that it was cut as it was again after the print was deleted as Josungjangbon was published while making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jeobon. And Kwangseungsabon and Heunggukwonbon out of Josungjangbon are identical panbon, and it is considered the former is the panbon that is carved later than the latter. 4) Chojojangbon is carved again with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as a jeobon. 5) Jaejojangbon is carved again after the print on it is erased and the number of lines is adjusted back again, and then it is corrected in part when it is published with Tripitaka Kai bao chobon as a jeobon, 6) The woodcut of Tripitaka Kai bao Eojebijangjeon is additionally inserted in deungjaebon for finished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and is engraved when the print of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Tripitaka Kai bao chobon is published in 988. 7) For the Eojebulbu, it is analysed as following.: (1) The jeobon of Eojebulbu Junghwajang byulchulbon was originally the appendix on the total 20 volumes of Eojebijangjeon and then it becomes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that is organized with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2) The panbon of Eojebulbu Junghwajang byulchulbon is Josungjang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3) The jeobon of Eojebulbu Chojojangbon is Tripitaka Kai bao sujeong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4) The jeobon of Eojebulbu Jaejojangbon is Tripitaka Kai bao chobon that goes for the 21st of the total 30 volumes of Eojebijangjeon.

한국어

본 연구는 『御製秘藏詮』대장경 판본과 저본 및 판각 성격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제비장전』의 『개보장 초본』은 2종의 판본이 있다. 하나는 20권본이고 다른 하나는 30권본이 다.: (1) 20권본은 988년에 간행된 『어제비장전』20권과 부록(『御製佛賦』ㆍ『詮源歌』)으로 구성되어 있 다. (2) 30 권본은 989년 또는 그 이후에 20권본의 20권을 30권본의 제1권∼제20권으로 구성하고, 20권본의 부록(『어 제불부』, 『전원가』)을 제21권의 내용으로 편입시킨 다음 기타 御製를 제22∼30권(제22∼25권: 御製 秘藏 詮幽隱律詩 4권, 제26∼29권: 御製秘藏詮懷感一百韻詩 4권, 제30권: 御製秘藏詮懷感廻文五七言詩 1권) 으로 편제하여 성립된 것이다. (3) 30권본『어제비장전』에서 제1권∼제20권은 20권본의 제1권∼제20 권과 동일한 板本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서 20권본이 기타 어제와 함께 30권본으로 편제될 때 20권본의 經 板 전체가 그대로 30권본의 제1∼20권의 경판으로 수용된 것이다. 2)『개보장 수정본』은 『개보장 초본』이 교감․수정된 다음 수정․보각된 『개보장』經板에서 인출된 것이다. 3) 『조성장본』은 『개보장 수정본』을 저본으로 해서 간행될 때, 판화가 삭제된 다음 그 상태에서 그 대 로 복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조성장본』가운데 廣勝寺本과 興國院本은 동일한 판본으로서 광승 사본은 흥국원본보다 후에 인출된 판본으로 추정된다. 4)『초조장본』은 『개보장 수정본』을 저본으로 해서 복각된 것이다. 5) 『재조장본』은 『개보장 초본』을 저본으로 해서 간행될 때, 『개보장 초본』에 있던 판화가 삭제 되고 또 원래의 상태(즉 20권본 登梓本의 매행 22行[추정])대로 행수가 조정되고 부분적인 교감․수정을 거친 다음 복각된 것이다. 6) 개보장 『어제비장전』의 판화는 20권본 『御製秘藏詮 개보장 초본』이 간행될 때(988년), 이미 완성된 20권본 『어제비장전』의 登梓本에 추가적으로 삽입되어 판각된 것이다. 이때 판화가 每張과는 관 계없 이 본문인 偈頌 10首(40句) 사이사이에 삽입되었고, 각각의 판화 사이에 있게 된 각각의 본문(偈頌 10首 ) 은 매장의 행수가 22행으로 구성되었다. 이 때문에 각각의 판화 사이에 있게 된 각각의 본문(偈頌 10首) 의 끝부분(좌측에 판화가 있는 장)에 해당되는 장의 행수는 22행이 못 되고 14∼23행으로 일정하지 않게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7)『어제불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1) 어제불부 『中華藏 別出本』의 저본은 원래 20권본 『어제비장전』의 부록이었다가 다시 30권본 『어제비장전』제21권으로 편제된 『개보장 수 정본』이다. (2) 어제불부 『중화장 별출본』의 판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제21권에 해당되는 『조성장본』이다. (3) 어제불부 『초조장본』의 저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제21권에 해당되는 『개보장 수정본』이다. (4) 어제 불부 『재조장본』의 저본은 30권본 『어제비장전』제21권에 해당되는 『개보장 초본』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어제비장전』의 대장경 판본
 3. 『어제비장전』 제본의 판본과 저본 및 판각
 4.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柳富鉉 유부현. 大眞大學校 文獻情報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