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四川 安岳 臥佛院 59호굴 <佛說報父母恩重經>의 校勘 硏究

원문정보

Textual Study on Bulsolbobumoeunjunggyeong Carved in Wofoyuan Anyue, Sichuan

사천 안악 와불원 59호굴 <불설보부모은중경>의 교감 연구

송일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s to not only restore the original text of two pieces of Bulsolbobumoeunjunggyeong(佛說報父母恩重經) which is engraved on rock of 59th cave located at Wofoyuan(臥佛院), Anyue(安岳), Sichuan(四川), China but also make a textual study comparison with original version. Carved on the rock in Wofoyuan is a different edition of (恩重經) carved in 735, which is well known as early version of YiZhong(乙種) system. This version was spread to East Asia widely, and still remains 34 copy of total 63 scrolls found in Dunhuang(敦煌). It exerts on strong influence on formation of Goryeo(高麗) edition as well. Comparing the texts of Anyue version with cannon version of Yizhong system, it is revealed that about 42 parts of tex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t will be helpful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literature when comparing with Goryeo edi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사천 안악 와불원의 59호굴 내부와 외부에 새겨져 있는 <佛說報父母恩重經> 2점의 원문을 다시 復原하고 定本과의 교감을 시도한 것이다. 와불원의 석경본은 735년에 바위에 새겨진 <은중경>의 異本으로 을종 계통의 가장 초기자료로 알려져 있다. 이 자료는 이후 동아시아에 널리 유포되어 현존하는 敦煌寫本 63부 중에서 34부가 발견되 었으며, 우리나라에도 전파되어 고려본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안악 석경본을 대상으로 을종계통의 정본과 교감한 결과 대략 42곳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고려본과의 대교를 통해 문헌의 전승 과정을 고찰하는데 일조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緖言
 2. 四川 安岳 臥佛院의 造成
  2.1 臥佛院의 造成槪要
  2.2 臥佛院의 唐代石經
 3. 臥佛院 59號窟 <恩重經> 石經
  3.1 臥佛院 59號窟外本
  3.2 臥佛院 59號窟內本
 4. <恩重經> 經文의 校勘 復原
  4.1 乙種系統의 定本
  4.2 復原文과의 校勘
 5. 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일기 Song, Il-Gie.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