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의 오언율시 텍스트에 대한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A Bibiolographical Study on the Text of the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s in Hyangsansamchebeop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ngages in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72 poems of the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s, which appear in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It will explore several themes in the following order: the life and literature of Bai Juyi(白居易); the composition of the Hyangsansamchebeop poems; the collection of works and writing-related matters; and a comparison of Hyangsansamchebeop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白居 易集箋校). All 72 poems of Hyangsansamchebeop were collected in Anthology of Poems by Bai Juyi(白居 易文集). Bai Juyi ji jian jiao cites that there are 7 poems from Book 13, 4 poems from Book 14, 1 poem from Book 15, 4 poems from Book 16, 1 poem from Book 17, 3 poems from Book 19, 1 poem from Book 20, 1 poem from Book 23, 1 poem from Book 24, 6 poems from Book 25, 21 poems from Book 26, 16 poems from Book 27, 2 poems from Book 28, 3 poems from Book 34, and 1 poem from Book 37, making 72 poems in all. The poems included in Hyangsansamchebeop show us matters related to the writing of the poems such as the time, place or government post Bai was in when he wrote the works. Bai selected the most works from his 50s and from his writings done in Changan and Luoyang. Bai Juyi went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ts after passing the jinsasi(進士試) examinations at 29 years of age. His official life bore close relations to the writing time and place and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reation of the poems. The poems contain scenes of Bai Juyi’s everyday life and surroundings with 25 poems for “Spring”, 16 poems for “Wine”, 13 poems for “Autumn”, 12 poems for “Sentiments”, 3 poems for “Partings”, and 3 poems for “Winter”. Altogether, there are 72 poems in 6 categories. A comparison done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Model A), created around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 (Model B)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original texts of Model A and Model B have differences in letters: there are instances of Model A and Model B having similar Chinese characters so that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in the translation; instances of Model A and B having contrasting letters so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 instances where Model A and B have contrasting letters yet differences in translation are clear;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A is more correct; and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B is more correct. Secondly, the annotations which appear in Model B complete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Thirdly, the poems in Model A and Model B have the same titles, yet Model B sometimes has different titles for the poems in the anno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most fundamental studies of Bibliography, Chinese Literature, Chinese poetry which includes the study of Bai Juyi’s poetry.

한국어

본 연구는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중 오언율시 72수를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에 관한 서지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백거이(白居易)의 삶과 문학, 「향산삼체법」 오언율시의 구성, 선집 및 저작 관련 사항, 「향산삼체법」과 주금성(朱金城)의 「백거이집전교(白居易集箋校)」의 비 교 순으로 살펴보았다. 「향산삼체법」의 오언율시는 72수 모두 「백거이문집」에서 선집되었는데, 「백거이집전교」를 참고하면, 권13/7수, 권14/4수, 권15/1수, 권16/4수, 권17/1수, 권19/3수, 권20/1수, 권23/1수, 권24/1수, 권25/6수, 권 26/21수, 권27/16수, 권28/2수, 권34/3수, 권37/1수로 도합 72수이다. 「향산삼체법」에 수록된 백거이 시 에 대한 저작 관련사항은 저작 시기, 저작 장소, 저작 당시의 벼슬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저작시기는 50대 의 저작이 가장 많이 선집 되었고, 저작 장소는 주로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이었다. 백거이는 29세에 진 사 시(進士試)에 합격한 이후 다양한 벼슬을 거쳤는데, 이러한 벼슬살이는 저작시기 및 저작장소와 밀접 한 관련이 되면서 시의 저술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시의 내용은 백거이의 일상들이 담겨진 것으로 ‘봄’ 25수, ‘술’ 16수, ‘가을’ 13수, ‘감회’ 12수, ‘이별’ 3수, ‘겨울’ 3수로 6분야의 72수이다.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인 「향산삼체법」 A본과 중국의 주금성(朱金城) 전주(箋 注)의 「백거이집전교」 B본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본과 B본의 원문에 글자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보면, A본과 B본의 글자가 유사한 한자여서 해석상의 차이가 별로 없는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가 대조적이어서 해석상의 차이를 알기 어려운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가 대조적이지만, 해석상의 차이가 분명한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 중 후대의 주석본을 참고하면 A본의 글자가 더 옳은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 중 후대의 주석본을 참고하면 B본의 글자가 더 옳은 사례들이 있었다. 둘째, B본에 나타나는 주석이 본문의 해석을 원만하게 해주는 경우가 있었고, 셋째, A본과 B본의 시 제목이 같은데 B본의 주석에 시의 제목이 다르게 제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 분야, 한문학 분야, 백거이 시를 연구하는 한시 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백거이(白居易)의 삶과 문학
 3.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오언율시의 구성, 선집 및 저작 관련 사항
 4.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오언율시의 내용
 5.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과 「백거이집전교(白居易集箋校)」의 비교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