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 양녕대군 초서 <後赤壁賦>에 대한 고증

원문정보

Historical Research On the <Hujeokbyeokbu(後赤壁賦)>, a Cursive Script Alleged to be Written by Yangnyeong Infante

전 양녕대군 초서 <후적벽부>에 대한 고증

柳志福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d the writer of the that was allegedly to be written in cursive hand by Yangnyeong Infante. The cursive script has been widely known as the Infante's work. Moreover, the wood block on which it is carved is being kept still in the Jideoksa(至德祠), the shrine his ancestral tablet is kept. However, nothing is recorded on that block that tells it was written by him but only on the wood block of Monghangak in Damyang that was carved on the basis of Jideocksa's block. But as the block of Monghangak is assumed to be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is no precedent evidence that proves the cursive script was written by Yangnyeong Infante.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whether Yangnyeong Infante wrote the cursive script or not. To find the answer, three kinds of analysis were conducted: penmanship trends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similar handwriting, literature search on 『Jideokji(至德誌)』that collected his writings and life's trail records, and search of all the book lists that have the records about the carving of . As a result, this article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 cursive script was not written by Yangnyeong Infante and is more likely to be written by Jang pil(張弼) or Hwang Gi-ro(黃耆老) that were popular in the early 16th Century.

한국어

이 글은 양녕대군의 초서로 알려진 <후적벽부>의 필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초서 <후적벽부>는 이미 양녕대군의 글씨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그의 위패를 모신 사당 至德祠 에는 <후적벽부>를 새긴 판목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그 판목 어디에도 양녕 대군이 썼다는 기록이 전혀 없고, 다만 이 판목을 저본으로 하여 담양 몽한각에서 중각한 판목에 양녕대군이 썼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담양 몽한각의 판목 역시 19세기 말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그 이전에는 초서 <후적벽부>가 양녕대군의 진적임을 밝혀주는 어떠한 기록도 없는 실정이다. 본고는 초서 <후적벽부>의 필자가 과연 양녕대군일까라는 의문점에서 출발하였다. 이 를 해결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서풍을 분석하여 유사한 필적과 비교해보았으며, 다음으로 양녕대군의 저술이 수록되어 있고 그의 행적과 관련된 기록을 모아놓은 『至德誌』에서 글씨와 관련된 기록을 찾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후적벽부>를 새겼다는 기록이 수록되어 있는 역대 책판 목록을 검색해보았다. 그 결과 초서 <후적벽 부>는 양녕대군의 글씨가 아니며 16세기 초반에 성행했던 張弼 또는 黃耆老의 글씨일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판본 비교 및 서풍 분석
  2.1 판본 비교
  2.2 서풍 분석
 3. <후적벽부> 필자에 대한 고증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柳志福 유지복.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