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덕길의 독서론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Hwang, Duckgil's reading theory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survey how the intelligent in the 18C read a book, the writer studies Hwang Dukgil's reading method and theory by doing research Duksuochajedo(讀書次第圖) which is Hwang, Duckgil's collection showing the reading order and also published in Hareojip(下廬集)written by Hwang, Duckgil, who was the Confucian scholar and New Confucian scholar from the late 18c to the early 19c. Hwang classified the reading order into three steps: “to read in advance, to read intensively, and to skim.” Hwang emphasized the rising importance of Korean New Confucian Books up to the Nine Chinese Classics(四書五經), and placed importance on Korean New Confucian Books as reading materials. Hwang's reading theory can be summed up in propagandism(傳道), review(溫習), and practice(實踐). Hwang considered reading as the only way to pass on Tao(道). He focussed on review which connects what we learn today with what we learned yesterday. He focussed to repeat the sustainable learning process continually as long as we live. In terms of him, the purpose of learning is to practise what we learned to every day's life. When we compare Kyukmongyokyul(擊蒙要訣) with Duksuochajedo(讀書次第圖), Yiyi(李珥) argues that people should read Confucianism book at first, and then New Confucian book, next history book. On the other hand, Hwang divided New Confucian books into two classes: New Confucian Books with the Four Classics of Confucianism, the other New Confucian book with the Five Books of Confucianism. Yiyi focussed on the reader's general attitude toward the New Confucian Book, on the other hand, Hwang provided all types of information, with an emphasis on each New Confucian Book. Hwang's reading theory accommodates a part of Yiyi's theory. However we can look for more progressed aspect in Hwang's theory than Yiyi's.

한국어

이 연구는 18세기 지식인의 독서론을 고찰하고자 下廬 黃德吉(1750∼1827)의 문집인 「下廬集」 속에 수록된 <讀書次第圖>를 통하여 18세기 말엽에서 19세기 초의 전형적인 유학자 이자 성리학자인 황덕길의 독서방법과 독서론을 연구한 것이다. 황덕길은 南人 실학파의 학자로서 전형적인 유학자이며 성리학자로 그의 학문적 자세와 입장이 讀書次第圖에 잘 나타 나 있다. 황덕길은 독서의 순서를 先讀, 次讀, 兼看 등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讀書次第圖의 특징은 성리서를 사서오경의 수준으로까지 격상한 것과 조선 서적의 필독을 강조하였다. 황덕길의 독서론은 傳道․溫習․實踐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는 독서가 道를 전해 받는 유일 한 방식이라고 하였다. 독서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溫習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오늘 하나를 배우 면 그것을 예전에 배운 것과 연결하여 익히고,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익히는 과정을 생을 마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독서의 목적이 배운 것을 실천함에 있다고 했다. 이이의 「擊蒙要訣」과 비교해 보면 제시한 독서 목록이 대부분 유사하나. 이이는 유학의 경전을 먼저 읽고 난 뒤에 성리서를 읽고, 다음으로 역사서를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황덕길은 성리서 중에서도 사서와 함께 먼저 읽어야 할 것과 오경과 함께 뒤에 읽어야 할 것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독서에 있어서 대상 서책을 읽을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을 제시했는데 이이는 전체 성리서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읽을 때의 마음가짐에 대해 말했으나, 황덕길은 각 성리서별로 관점을 제시한 차이가 있다. 황덕길의 독서론은 이이의 영향을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서 이이의 독서론보다 한층 성숙한 측면이 있다.

목차

<초록>
 
 1. 導言
 2. 저술의 배경
  2.1 황덕길의 편저
  2.2 18세기의 독서 양상
 3. 讀書次第圖의 분석
  3.1 讀書次第圖
  3.2 幷說
  3.3 「擊蒙要訣」과의 비교
 4. 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희 Kim, Soon-Hee.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