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佛祖三經」의 성립과 저본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Literary Sources and Genesis on Buljosamgyeong(佛祖三經)

「불조삼경」의 성립과 저본에 관한 고찰

이상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is a book consisting of three sūtras related to both the Buddha and a Buddhist patriarch. The Bulseolsasipyijanggyeong(佛說四十 二章經) and Bulyugyogyeong(佛遺敎經) Sūtras are related to the teachings of the Buddha, while the Weisangyeongchaek(潙山警策) Sūtra was written by Weisan (潙山, 771-853) as an admonition to Buddhist priests. All three sūtras focus on instructing Buddhist priests on right attitude and mind. Mongsan(蒙山, 1231-?)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roduction of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to the Goryeo Dynasty. This study especially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sources for the genesis of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The analysis of the creation of the Buljosamgyeong (佛祖三經) was done through various ways. This study examines the scripture's origin, based upon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historical materials. In addition, it explores specific information us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origin of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What is more, this study clarifies upon the creation of the Bulseolsasipyijanggyeong(佛說四十二章經)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its components. The literary sources for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are the first Tripitaka Koreana(初雕大藏經), the annotated editions of Emperor Zhenzong(眞宗, 968-1022) of the Song Dynasty and the Buddhist manuscripts of the Dunhuang(敦煌) reg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forementioned scriptures and by examining its background, this study elaborates on the genesis of the Buljosamgyeong(佛祖三經).

한국어

본고에서 고찰한 「불조삼경(佛祖三經)」은 부처[佛]와 조사[祖]가 남긴 세 가지 경전[三 經]의 내용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은 부처의 가르침인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과 <불유교경(佛遺敎經)> 및 위앙종(潙仰宗)의 개창 승려 위산 영우(潙山 靈祐, 771~853) 의 어록인 <위산경책(潙山警策)>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경전은 모두 출가한 승려들이 기본적으로 지녀야할 자세 및 마음가짐에 관한 가르침에 주목을 하고 있다. 「불조삼경」의 전래에는 몽산 덕이(蒙山 德異, 1231~?)의 역할이 컸다. 본고에서는 특히 「불조삼경」의 성립과 저본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불조삼경」의 성립에 관한 논의는 그간 다양하게 진행이 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 논의와 관련사료에 근거하여 경전의 성립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불조삼경」의 성 립의 배경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사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성립 배경을 파악하였다. 또한 세 구성경전인 <불설사삽이장경>, <불유교경>, <위산경책>의 저본관계를 살펴보고, 어 떠한 저본의 영향을 받아서 「불조삼경」이 성립되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저본의 대상이 된 경전들은 「불조삼경」 이전에 각 경전을 포함하고 있던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송대 황제였던 진종(眞宗, 968~1022)의 주석본, 그리고 더 앞선 시기의 돈황사경(敦煌寫 經)이다. 이들 경전을 「불조삼경」과 함께 비교하고, 성립배경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불조 삼경」이 어떠한 저본을 근거로 하여 성립이 되었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불조삼경」의 성립
 3. 「불조삼경」의 저본관계 분석
  3.1 <불설사십이장경>
  3.2 <불유교경>
  3.3 <위산경책>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백 Lee, Sang-Baek.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