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의 書籍目錄에 나타난 조선본의 출판권 변화 - 17~18세기 초 京都에서 간행된 조선인 編著 유학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hanging of Publication Right of the Copies of Joseon Appeared the Book Lists in Japan - Based on Cunfucian Books Written by Korean Published in Kyoto from 17C to Early 18C -

일본의 서적목록에 나타난 조선본의 출판권 변화 - 17~18세기 초 경도에서 간행된 조선인 편저 유학서를 중심으로 -

이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publication right of the confucian books written by Korean published in Kyoto from 17C to early 18C. The reason that would like to focus on this time is that this time is very meaningful on the publish culture as well as on the Japanese history. It has been pointed the effect of Imjin War(壬辰倭亂, 1592~1599) as one of the cause in this changing. There are much books and publishing tools that had been introduced from Joseon. And then there were published in the bookstores in Kyoto especially confucian books containing Korean writers. The bookstores in Kyoto were important for published culture in this time because they had the largest number of publishing rates in the other publisher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bookstores in order to understand effect and meaning in the copies of Joseon published in Japan. The book lists written by book stores indicate books that had been published and sold in this time. Especially Jeung-ik-seo-jeok-mong-rok-dae-jeon(增益書籍目錄 大全) is the only one that are included the publication right for each books. So it is expected to know particularly the circulation patterns of the books by bookstores, if it could compare with publishing year in the copies published at that time. Consequently it could be found many patterns changing publication right between bookstores. There can be thought by many reasons like opening moment of the origin bookstore, or publication right infringement between bookstores etc. Furthermore this study was trying to analyze bibliographically. As a result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ing between the editions according on the publication right change or not.

한국어

한국과 일본의 서적 교류는 오랜 기간 이루어져 왔지만, 그 중 17세기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이 시기 일본의 내부적 변화 때문이다. 출판문화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데, 이를 반영하듯 양국의 서적 교류 또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에도시대의 서사는 당시 출판문화의 구심점적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적어도 유통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이들이 미친 영향은 더할 나위 없이 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서사에서 판매용으로 작성한 書籍目錄 중 유일하게 출판권자가 기재되어 있는 「增益書籍目錄大 全」과 현존본의 간기를 통해 18세기 전반까지 이루어진 조선인 편저 유학서의 출판권 이동 양상 을 파악해 봄으로써 간행 이후 유통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목록이 작성되기 이전까지 한 서사에서 간행되거나, 여러 서사에서 같은 판본으로 간행된 경우가 있었고, 이것들이 각각 그대로 18세기 전반까지 유지되거나, 변경되었다. 변경된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서사의 존속시기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시 기 같은 판본인 경우 각각을 간행한 서사의 존속시기를 고려하여 판단해보니, 출판권이 침해되거 나, 동업 관계, 혹은 장판자의 간행처 변경으로 짐작되는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판본에 나타는 간기를 서지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이후 출판권이 바뀌었어도 간행시기는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 출판권의 변경이 비교적 흔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自省錄」은 처음 판각했던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겨갔다가 후대에 출판권이 바뀌면서 다시 돌아와 간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출판권이 변경됨에 따라 판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현존본을 확인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서지학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판목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와 다시 판각한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17세기 일본의 書肆와 書籍目錄
  2.1 17세기 일본의 서사 성립과 발전
  2.2 書籍目錄의 종류와 구성
 3. 書籍目錄에 나타난 간행과 출판권 변경
  3.1 17세기 書籍目錄에 나타난 조선인 편저 유학서
  3.2 출판권의 변경 양상
  3.3 출판권 변경에 따른 간행 방식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유리 Lee, You-Lee.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