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開運寺本 晉本 「華嚴經」 卷33의 書誌的 硏究

원문정보

Bibliographic Study on Volume 33 of Gaewun-sa Jin Version Avatamska Sutra

개운사본 진본 「화엄경」 권33의 서지적 연구

宋日基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the Volume 33 of Jin version Avatamska Sutra kept in Gaewun-sa Temple from bibliographic viewpoint and found out following facts.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Gaewun-sa edition Jin version Avatamska Sutra Volume 33 are as following. The binding is in scroll form and it consists of 19 chapters. Each chapter has 26 lines, except the book-beginning writing and the page with book-ending writing. This is different from the Goryeo editions, which have 24 lines. The Gaewun-sa Edition book-beginning writing has the sutra titles and chapter titles in the same line. Goryeo editions published after 10th century do not have this kind of format. The characters in Gaewun-sa Edition are in manuscript style in general. Nine characters, that had changed into square style in later age, had been chosen from the Gaewun-sa Edition and they had been compared with the characters in the Dunhuang manuscrip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y are same with the manuscripts published in the ages of Shilla, Sui and Tang. The content of Gaewun-sa Edition sutra had been examined. It showed substantial difference from the Zhonghua edition Tripitak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oryeo Second-engraving editions, which had accommodated the temple-published editions, and the Daisho New Edition Tripitaka, which had been compiled based on the Goryeo Second-engraving edition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Gaewun-sa Edition is in the same series with Goryeo Second-engraving editions and the Daisho New Edition Tripitaka. Based on abov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Gaewun-sa Edition had been published in Korea during 9th to 10th century. It is possibility to assume that Gaewun-sa Edition is the earliest edition among the 17-character temple-published editions, which became the original of Goryeo Second-engraving editions later.

한국어

이 논문은 개운사에 수장되어 있는 진본 「화엄경」 권33에 대해 서지학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힌 글이다. 개운사본 진본 권33의 서지적 특징을 살펴보면 장정은 권자본 형태이며 전체 1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卷首題와 卷尾題面을 제외하면 각 장은 26행으로 되어 있어 24행인 고려본과는 行數에서 2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개운 사본의 권수제는 經題와 品題가 한 행에 기재된 형식으로 10세기 이후 간행된 고려본에는 이와 유사한 형식이 없다. 개운사본 경문의 字體는 전반적으로 寫經體字로 되어 있으며, 이 중 후대에 正字體로 변화된 9자를 선정하여 출현 횟수와 돈황 사경의 자체와 비교한 결과, 수․당대 및 신라사경자와 동일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경문의 내용을 교감한 결과 중국대장경본 계통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寺刊本을 수용한 고려재조본과 이 재조본을 저본으로 편찬한 대정신수대장경과는 큰 변화가 없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개운 사본과 동일 계통의 판본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개운사본은 대략 9-10세기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판본으로, 이후 고려 재조본의 저본이 된 17자본 사간본 가운 데 가장 초기의 판본으로 추정하였다.

목차

<초록>
 
 1. 緖言
 2. 板本의 特性
  2.1 現狀
  2.2 造卷
 3. 題名 및 書體 分析
  3.1 卷首題
  3.2 板首題
  3.3 寫經體字
 4. 經文校勘 分析
  4.1 校勘內容
  4.2 校勘結果
 5. 結言
 <참고문헌>
 <부록> 사진자료

저자정보

  • 宋日基 송일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