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관한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aehak-hyanggwancheong-soji-byeong-sicheop

「태학향관청소지병시첩」에 관한 연구

朴文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s on the Taehak-hyanggwancheongsoji- byeong-sicheop.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eokjeon is a memorial service for the old saints and sages including Confucius in a Confucian shrine, Munmyo. There were no cases that a king directly held Seokjeon except for Seongjong in 1475(Seongjong 6) and Heonjong in 1661(Heongjo 2) before the reign of King Yeongjo. (2) The reasons that the King Yeongjo directly conducted Seokjeon in 1740 (Yeongjo 16) were for honoring previous Seokjeon which Seongjong held in 1480 (Seongjong 11) and encouraging people to study hard. It can be inferred about academic inclination and political, ideological disposition of the King Yeongjo. (3) Taehak-hyanggwancheong-soji-byeong-sicheop contains 17 poems. One is that the King Yeongjo composed when he conducted Seokjeon in 1740(Yeongjo 16), and the others are that the sixteen retainers wrote to reply to their king’s poem and presented the poems to him. (4) The poems in Taehak-hyanggwancheong-soji-byeong-sicheop congratulated Seokjeon, the king conducted, and also praised its influences such as guiding customs, training and selecting talented people, and spreading Confucianism out. (5) Only the King Yeongjo’s poem of Taehak-hyanggwancheong-soji-byeongsicheop is contained in the Annals of the King Yeongjo, and other sixteen poems the retainers composed are not recorded in any other literatures. Therefore, Taehakhyanggwancheong- soji-byeong-sicheop can be classified as rare and precious materials, so it seems worth being designated and preserved as a local cultural property.

한국어

본 硏究는 英祖 親行의 釋奠과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관하여 考察한 것으로 그 結果 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釋奠은 文廟에서 孔子를 비롯한 先聖과 先師를 享祀하는 의식으로 朝鮮 英祖 이전에 國王이 釋奠을 親行한 것은 성종 6년(1475)과 현종 2년(1661)의 釋奠뿐이다. (2) 영조 16년(1740) 8월에 王이 釋奠을 親行한 것은 성종 11년(1480) 2월의 常典을 추모하 여 서술하고 士習을 勉勵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英祖의 繼事述志에 바탕을 둔 學問的․思想 的․政治的 경향을 짐작할 수 있다. (3)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는 영조 16년(1740) 8월의 國王 親行釋奠 때의 御製詩 1首 와 16人 臣下들의 應製賡進詩 16수 등 도합 17首의 詩篇이 수록되어 있다. (4)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수록된 詩篇들은 國王親行의 釋奠을 慶賀함은 물론 이를 통한 風俗의 敎化, 人材의 養成과 試取, 儒風振作 등을 稱誦하고 있다. (5)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수록된 詩篇들 중 英祖의 御製詩만 「英祖實錄」에 수록되 어 있을 뿐, 應製賡進詩 16首는 다른 어떤 文獻에도 수록된 바 없다. 따라서 「太學享官廳小識 幷詩帖」은 唯一本의 貴重한 資料이므로 地方文化財로 指定하여 硏究하고 保存할 만한 價値 가 있는 것으로 評價된다.

목차

<초록>
 
 1. 緖言
 2. 歷代의 釋奠
 3. 英祖大王 親行釋奠과 參與人士
  3.1 英祖大王 親行釋奠
  3.2 英祖大王 親行釋奠의 參與人士
 4.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
  4.1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의 書誌와 形態
  4.2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收錄된 小識의 內容
  4.3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에 收錄된 詩篇의 內容
 5.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朴文烈 박문열. 淸州大學校 人文大學 文獻情報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