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s a serious of metal type-reproduction project progresses, lots of unknown facts were uncovered about metal-type, type casting and typesetting in the period of Koryo and Chosun Dynasty. Especially by discovering the oldest existing metal type so called Jeungdoga type(證道歌字) which was known by the author, not a few facts were turned over in relevant study. Nevertheless, some vague suppositions and existing opinions were carried by several scholars without scientific research and analysis or logical explanation. Some scholars continued to stand their ground in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to the category of the type-shape change. That is quite remote from reality and current theory. According to this study, height of metal-type was mostly kept in symmetrical within the typesetting rack, also bottom form of metal-type was like tunnel-shaped. Their bottom shape changed dependent on the method of typesetting from Koryo to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But the tunnel shaped bottom line was maintained from the second half of 15th century. The separated form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casting method of type was consistantly used from an early period of metal-type printing in Korea, but adaptation later the ImJin type(壬辰字) in late period of 18th was not an acceptable fact in ease. Therefore we tried to straighten out the error and the wrong exiting theory in metal type printing, especially to the area of type-casting method, type shape so forth in Koryo and Chosun Dynasty.
한국어
최근 고려 금속활자인 ‘증도가자’가 발견되고 조선시대 금속활자를 대상으로 한 복원사 업이 진행되면서 금속활자의 주조법이나 조판법 등에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성과에 대하여 과학적인 조사, 분석을 통한 기본적인 연구법에 의하지 않고 막연한 추측이나 종래의 주장을 되풀이 하거나 또 자료에 대한 그릇 된 해석 즉 소위 ‘실험용’이라는 개념으로 실제 사용된 활자를 잘못 분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활자의 형태 변천에서도 논리나 실재와 동떨어진 종래의 이론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의하면 활자의 높이는 어느 정도 균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하부형태 는 고려로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조판방법과 맞물려 변천하였으나 조선의 15세기 후반부터는 거의 터널형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조법의 측면에서도 상하분리 형 父字가 고려부터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소위 실험을 거친 壬辰字부터 적용되었다 는 발상은 발전과정상 받아들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고려나 조선시대 금속활자 의 주조법, 형태 등에 대한 잘못된 논리들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고려시대 금속활자
3. 조선시대 금속활자
4. 금속활자 연구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