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n how many the Zizhitongjian (資治通鑑) was published, and how it was circulated in the Joseon Dynasty. To satisfy the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existence of publication records and woodblocks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and the catalogs of woodblock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n accurate bibliographic catalog was made and analyzed by examining the real Zizhitongjian and correcting errors in the catalog.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3 of the publication records, books printed with Gabinja and Musinja types still remained. Woodblocks of Zizhitongjian recorded in the catalog of woodblocks were not found, and their woodblock prints do not exist, either. This reveals that Zizhitongjian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country. Among the existing 55 volumes of Zizhitongjian, 19 were published in the Joseon, and 24 and 12 were published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This result evidences that imported editions of Zizhitongjian supplemented the insufficient supply.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시대 「자치통감」이 얼마나 간행되었고 어떻게 유통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서지적 방법으로 고찰한 논고이다. 이를 위해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문헌기록과 책판목록을 통하여 간행기록과 책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고, 고서목록을 통하여 현존본을 조사하였다. 이를 근거로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조사를 통해 기존 목록의 오류 를 수정하고 정확한 서지목록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행사실이 확실한 기록은 3차례, 현존본은 초주갑인자본과 무신자본 2종이 밝혀졌다. 각종 책판목록에 기록된 「자치통 감」 책판은 발견되지 않았고, 현존하는 목판본도 없었다. 간행사실과 책판의 부재는 조선시대 국내에서 간행된 「자치통감」에 의해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현전하는 「자 치통감」 55건 중 조선본은 단지 19건에 불과하고, 그 외에 중국본은 24건, 일본본은 12건으로 밝혀져 부족한 수요는 외국본의 수입으로 충당한 사실을 보여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자치통감」의 편찬과 수용
2.1 편찬배경
2.2 수용과정
3. 초주갑인자본 「자치통감」의 간행
3.1 세종의 사정전 훈의
3.2 현존본 분석
4. 무신자본 「자치통감」의 간행
4.1 간행사실 분석
4.2 현존본 분석
5. 조선시대 「자치통감」의 유통 양상
5.1 수요와 보급의 불균형
5.2 중국ㆍ일본본의 수입대체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