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책판의 간행공간에 관한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ublishers and Publishing Places of Wooden Printing Blocks in the Late Joseon - Centered on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KSAC(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

손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ough not found in the printed book, the vivid informations at the time of publish can be found in the wooden printing blocks thereof. From the places of publish, the people therein and lives thereof also can be detected.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publishing places of wooden printing block in the Late Joseon and the people therein. Based on the publish records carved or written on the wooden printing blocks possess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is paper classified the official publishing places of wooden printing block into local government office, Confucianist auditorium, village school and private family house, and checked out whether the official publishing places and real publishing places were same or not. Through the publish cases of 18th and 19th Century confirmed by above check, the figure and conditions of publishing places could be examined. The publishing of wooden printing blocks were done in the places where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other conditions were very good to procure the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The working and residential space for manpower were also essential for the publishing. In addition, the distances to the main agent of publishing was close enough for smooth communication. Otherwise, they had some system that could close the distance by the efficient operation and practic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한국어

인쇄된 서책에서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의 모체인 책판에는 간행할 당시 살아있는 정보들 이 숨어있다. 간행이 이루어졌던 공간, 그 공간 속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포착해낼 수 있는 데, 본고는 조선후기 책판 간행 공간과 간행 여건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에 새기거나 墨書한 刊記를 통해 책판의 공식 간행처를 지방관아․서원․서당․문중[私家]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책판의 공 식 간행처가 실제 간행이 이루어졌던 간행공간과 일치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식 간행처가 실제 간행공간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검토과정에서 확인된 18~19세기의 간행사례를 통해 책판이 간행되었던 공간의 모습과 간행공간을 이루었던 여러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책판의 간행은 물력․인력 조달이 지리적 위치 또는 상황에 따라 매우 용이한 조건을 갖춘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간행의 참여인력들이 작업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 가능한 곳이었으며, 이들의 숙식을 해결할 수 있는 조건의 공간이어야 책판간행이 가 능하였다. 이외에도 간행주체와 소통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여야 간행작 업이 원활할 수 있었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물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운영구조와 구성원들의 실질적 업무를 통해 소통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책판의 공식 간행처
  2.1 지방관아
  2.2 서원
  2.3 서당
  2.4 亭齋ㆍ私家
 3. 책판의 실질적 간행공간
 4. 책판 간행공간의 조건
  4.1 물력과 인력 확보의 용이성
  4.2 참여인력의 작업 및 식생활 공간의 확보
  4.3 간행주체와의 소통 가능한 시스템 구축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손계영 Son, Ke-Young.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