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後期의 「實錄廳題名記」 硏究

원문정보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Directory of the Compiling Office for Sillok

조선후기의 「실록청제명기」 연구

裵賢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Joseon dynasty, after printing of 「Sillok」 i.e. 「the Chronological Annals (실록)」, the Bureau of State Records(춘추관) enshrined these Annals at the Library in the palace, and established Uigwe-cheong(의궤청) to edit 「the Manual for the Procedure of Compiling Sillok」(실록청의궤) and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실록청제명기).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is a directory of compilers who participated in compiling 「Sillok」, and its compilation followed the tradition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imilar directories were inserted either in the latter part of the Annals or in 「the Manual for the Procedure of Compiling Sillok」. Most of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were burnt out. 「The directory of the Printing Office for Sillok」(실록인출청제명기) in the 16 century proved to be the oldest existing book among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Since the 17 century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was always compiled after the publication of 「Sillok」, but not all of them remain. The contents are very simple to have only full official titles and names of compilers. As time passed more contents were added such as the adult name, year of birth, year of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ancestral home, hours of duty and the business under his charge.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for most 「Sillok」 do not have different versions, except the directory of King Hyeonjong(현종)’s 「Sillok」. They were printed by the same metal movable types, but one of them was separately typeset with the revised content. The reason fot its revision and the printers are to be studied in days to come.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the compiling officers included in 「the Directory of the Compilation Office for Sillok」 and those included in 「the Manual for the Procedure of Compiling Sillok」. There may be a few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which is to be studied in the near future.

한국어

조선시대에는 실록의 인출이 완료되면 춘추관에 봉안한 후 의궤청을 설치하고 의궤와 제명기를 편찬하였다. 제명기의 편찬은 조선 전기의 관례를 계승한 것이다. 그러나 전기의 제명기는 임진왜란으로 모두 인멸되고 전래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선조년간의 「實錄印出 廳題名記」이다. 이후 역대왕의 실록 편찬이 끝나면 제명기는 편찬되었지만 다 전래되는 것은 아니다. 제명기에 수록된 내용은 서문, 편찬일정과 명단이다. 명단에는 階司職, 姓名, 字, 生年, 科擧登第年度와 종류, 本貫은 반드시 수록하였고, 후대의 제명기에는 담당업무 또는 仕日 數가 첨가되었다. 역대의 제명기에는 異本이 없으나 현종의 경우만 이본이 있는데, 동일활 자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일부만 수정해서 인출한 것이 아니고, 수정한 내용을 포함해서 별도로 조판한 것이다. 거듭 간행하게 된 이유와 간행의 주체는 더 고구해야 할 문제로 남았다. 실록청의 제명기에 수록된 인원과 의궤에 수록된 인원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는 여러 연유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각각의 의궤와 제명기를 좀 더 분석할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緖言
 2. 朝鮮後期의 實錄廳題名記의 編纂
 3. 實錄廳題名記의 傳來本
 4. 實錄廳 儀軌와 題名記의 官員 差異
 5. 「顯宗實錄廳題名記」의 異版本
 6. 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 裵賢淑 배현숙. 계명문화대학 교수. 서지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