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bottom book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ga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Joseongjangbon, the First Tripitaka Kore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with the existing 13 kinds of Tripitaka Kai bao, and to clarify the bottom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nalysis of Kyojeongbyullok.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s idea is again confirmed that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the modified ‘bokgakbon’ of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for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Sugi, the Buddhist monk, used largely the Songbon as the first bottom book among the Gookbon, the Danbon, and the Songbon, and compared it with the Gookbon and the Danbon to proofread and correct. In addition, the corrected Songbon was used as a ‘deungjaebon’, the bottom book for making woodblocks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criptures, either missing in the Songbon or with some critical faults, were corrected with the Gookbon or the Danbon as the secondary bottom book. Either this corrected bottom book was used as a ‘deungjaebon’ or a newly carved ‘deungjaebon’ was included or substituted i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refore, this researcher's argument over the above fact seems to be well confirmed.
한국어
본 연구는 현존하는 13종의 개보장본을 중심으로 조성장본,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대조 분석을 통해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저본에 대해서 다시 고찰해보고, 교정별록의 내용 분석 을 통해 재조장의 저본에 대해서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초조장과 재조장은 개보장의 수정 복각본으로 추정했던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특히 재조장의 경우 수기법사가 국본․단본․송본 가운데 대부분 송본을 제1차적인 저본으로 삼은 다음 이 송본을 국본․단본과 대교하고, 국본․ 단본 등에 의거해서 송본을 교감하여 수정하였다. 아울러 이 수정된 송본은 바로 재조장을 간행함에 있어 그 판각의 저본 즉 등재본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송본에 없거나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경전은 국본이나 단본 등을 제2차적인 저본으로 삼아 이를 수정하여 등재본 으로 삼아 판각을 하거나, 새로 등재본을 마련해서 판각한 다음 재조장에 편입시키거나 대체시켰던 것으로 주장했던 필자의 견해도 분명히 확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언
2. 開寶藏 계열 판본의 대조를 통해 분석된 高麗藏의 底本
3. 校正別錄에 나타난 再雕藏의 底本
4. 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