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Heo Jun's Eonhae(“Korean-translated Version”) medical texts and their related editions. The paper will examine the subject in the following order: Naeuiwon(royal clinic in the Joseon Dynasty) and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medical texts;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Eonhaegoogeupbang, Eonhaedoochangjipyo, and Eonhaetaesanjipyo;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onhae books; a comparison of the Eonhae books and Donguibogam; the editions related to the Eonhae texts; and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Eonhae texts. Naeuiwon, in charge of compiling and publishing medical texts, established a separate bureau from the 41st year of King Seonjo's reign (1608) to the 7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1615) and published medical books compiled, proofread and supervised by court physicians with wooden movable types. Eonhaegoogeupbang was compiled and published from the 34th year of King Sejo's reign(1601) to the 40th year of Seonjo's reign (1607) by referring to Googeupbang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Donguibogam and several other medical texts. Eonhaedoochangjipyo was made by referring to Changjinjip which Im Wonjun compiled during King Sejo's reign, as well as to other smallpoxrelated medical texts and Chinese medical texts. Eonhaetaesanjipyo was published in wooden type by Naeuiwon with reference to Taesanyorok, Donguibogam and other gynecology-related medical texts. Since both the original editions of the Eonhae texts and their reprints exist, they are extremely valuable in studying the editions, and excellently represents the notation, phonemes, and lexicons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used in the 17th century. It is certain that they will be considered important resources in the fields of bibliography, Koreanology and Eastern medicine.
한국어
이 글은 허준 편ㆍ간의 언해본 의서와 관련 판본에 관한 연구이다. 내용의 전개는 내의원 과 의서의 편찬․간행,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및 「언해 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의 편찬ㆍ간행, 언해본의 형태와 내용, 언해본과 「동의보감(東醫寶 鑑)」의 비교, 언해본의 관련 판본, 언해본의 국어학적 특징 등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내의원 이 의서의 편찬과 간행을 주도한 것은 선조 41년(1608)부터 광해군 7년(1615) 사이에 별도로 국을 설치하고 의관들이 의서를 편찬, 교정, 감수하여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언해구급방」은 선조 34년(1601)~선조 40년(1607)에 세조조에 간행된 「구급방」과 「동의보감」 및 여러 의서들 을 참조하여 편․간되었고, 「언해두창집요」는 세조조 임원준이 편찬한 「창진집」을 비롯한 두창관계 의서 및 중국 의서들을 참고하여 이루어졌으며, 「언해태산집요」는 「태산요록」과 「동의보감」 및 부인과 관련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되었다. 이들 언해본들은 원간본과 번각본이 함께 남아 있어 판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17세기 근대 국어의 면모가 표기, 음운, 어휘면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서지학, 한국학, 한의학분야에 중요한 자료로 구실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내의원과 의서의 편찬ㆍ간행
3.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및「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의 편찬ㆍ간행
4. 언해본의 형태와 내용
5. 언해본과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비교
6. 언해본의 관련 판본
7. 언해본의 국어학적 특징
8.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