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濟衆新編」 현존본의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The Bibliographic Study of the Existing Jejung Sinpyeon

「제중신편」 현존본의 서지적 연구

이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jung Sinpyeon(濟衆新編) is a medical book newly compiled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Donguibogam(東醫寶鑑), and to offer prescriptions suitable for new diseases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In this research, to analyze bibliographically the existing Jejung Sinpyeo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and characteristics of its domestic edition and an edition published in China were examined. The domestic edition of Jejung Sinpyeon is known to have been published only once in 1799. But an examination of the extant prints of the first edition revealed that one or more sets of printing woodblocks for Jejung Sinpyeon might have been crafted. Variances in writing names of domestic medicines, and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frames for woodblocks and the size and shapes of the characters evidence this assumption. Without any record to confirm, only the result of an actual examination could be presented for this assumption. Jejung Sinpyeon were printed with woodblocks twice in 1817 and 1851 during the Qing Dynasty, which proves high demand for Jejung Sinpyeon in China. Those Chinese editions were reproductions and contained exactly the names of domestic medicines recorded in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Joseon. Jejung Sinpyeon was originally planned by King Jeongjo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compiling this book in order to make it widely used by the public. This research documents that Jejung Sinpyeon became well known to not only Joseon but also China where its woodblock prints were twice published, and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medical books well kept and used even today.

한국어

「濟衆新編」은 「東醫寶鑑」 단점을 극복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질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처방들을 보강하여 편찬한 의서이다. 「濟衆新編」 현존본의 서지적 분석을 위해, 국내 판본과 중국 판본으로 구분하여 각 판본별로 그 서지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실사하여 판본별 그 특성에 관하여 밝히었다. 국내에서 간행된 「濟衆新編」 초간본의 간행 기록은 1799년(正祖 23) 한 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초간본을 실사한 결과, 하나 이상의 「濟衆新編」 목판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에 대한 근거로 초간 본에 나타난 향약명의 한글표기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들어 그 차이점을 밝혔으며, 더불어 반곽의 크기, 글자의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이를 근거할 만한 기록은 발견하지 못하였고 실사를 통해 이본이 존재하는 것만을 증명하였다. 그 외 국내 판본으로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신연활자본이 전하며 이에 대한 서지사항과 특성을 살펴 보았다. 중국에서 간행된 「濟衆新編」 판본으로는 淸代인 1817년과 1851년 두 차례에 걸쳐 목판본을 간행하였다. 이는 당시 중국에 「濟衆新編」의 수요가 많았음을 알 수 있는 단적 인 예이다. 청판의 특징으로는 방각본이라는 것과 조선에서 간행된 초간본의 향약명 한글 표기가 청판에도 그대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濟衆新編」은 널리 백성에게 유익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정조임금이 기획하고 실제 편찬에 참여한 문헌으로, 조선은 물론 중국에까지 전해져 목판본을 간행하였으며 현재까지도 보존 활용되고 있는 중요 의학 문 헌임을 밝혔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國內 板本
  2.1 初刊本
  2.2 鉛活字本
 3. 中國 板本
  3.1 经国堂刻本
  3.2 秋水书屋刻本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정화 Lee, Jeong-Hwa. 한국한의학연구원 전통의학정보연구본부 문헌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