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명송증도가」의 간행 배경에 관한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of Nammyong Songjungdoga

김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nalyzes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of Nammyong Songjungdog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Nammyong Songjungdo-ga is the book about the nature of spiritual awakening, which Nammyong Hwasang Bopjon added the eulogy to each phrase of 'Jungdo-ga' by Youngga Daesa.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became the basis of establishing the Jogye Order in Buddhism during the mid-Goryeo Period. 2) In the early 13th century, the formation of the Susonsa and Baengnyonsa, which could be considered the unparalleled change in the community of Buddhism, became matured in the Goryeo society. During that period the 7-storied wooden stupa of Hwangnyongsa Temple in Gyeongju was set on fire by Mongolian soldiers in 1238, and Nammyong Songjungdo-ga was printed from woodblocks in the very next year. 3) In the 13th century, the military government of Choe Yi supported both materially and spiritually the Jogye Order, that is, Susonsa. Their support for the Jogye Order was motivated by their intention to entice the Jogye Order to actively support and cooperate with them. 4) It seems that the military government of Choe Yi published Nammyong Songjungdo-ga strongly needed by the Jogye Order in order to seek more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Jogye Order with his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Nammyong Songjungdo-ga was published by Choe Yi’s government, because they tried to establish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fighting against Mongolian invaders with the help of the Jogye Order, and motivate the followers of the Jogye Order to participate in resisting Mongol and engraving the second edition of Tripitaka.

한국어

이 연구는 「남명송증도가」의 간행배경에 관한 분석적인 논문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 과 같다. 1) 「남명송증도가」는, 영가대사 「증도가」의 각 구절에 남명화상 법전(法泉)이 계송을 붙여 깨달음(覺)의 실체(實體)를 설파한 책이다. 바로 이 책의 간행으로 인하여 고려 중기 불교계에 曹溪禪(看話禪: 修禪社의 結社)이 정착될 수 있는 기저가 확립되었다. 2) 13세기 초기 고려의 시대상황 및 불교계의 동향을 고찰한 결과, 13세기 고려 불교계 는 당시 불교계의 지각변동이라 할 수 있는 修禪社와 白蓮社의 結社運動이 무르익을 무 렵이었다. 한편, 그 시대상황으로는 몽고의 침략(1231) 이후 1238년 경주 황룡사 목조9층 탑이 몽고군에 의하여 불타고(燒失), 그 이듬해인 1239년에는 「남명송증도가」가 목판으로 간행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3)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종파들을 고구한 결과, 최이 무신정부는 조계종(수선사)을 물 심양면으로 지원하였다. 그 이유는, 무신정부가 수선사의 결사와 연대(連帶)함으로써 수선사 측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도출(導出)해 내고자 하였다. 4) 「남명송증도가」의 간행 배경은, 최이 무신정부가 1239년 당시 수선사의 결사에서 가장 절실하게 요구되었던 「남명송증도가」를 간행함으로써 수선사로부터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기대하였을 것이라 볼 수 있다. 아울러 최이 무신정부는 수선사를 통하여 대몽항쟁의 이념적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수선사 결사를 따르는 민중(백성)들을 규합하여 보다 강력한 대몽항쟁 및 재조대장경 조조의 활성화라는 목적을 실현하고자 「남명송증도 가」를 간행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번각본 「남명송증도가」의 성립과 체제
 3. 13세기 전기 고려의 시대상황 및 불교계의 동향
 4.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종파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수 Kim, Sung-Soo.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