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天請問經」에 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Cheoncheongmungyeong(天請問經)

「천청문경」에 대한 고찰

김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rrang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eoncheongmungyeong (Devatāsūtra), a Buddhist scripture, examined its system and analyzed the existing bibliography by comparing the text of Dunhuang(敦煌) Copy with Chinese-translation of Daejanggyeong(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Cheoncheongmungyeong is one of the scriptures of Eighteen Schools of India imported by Xuanjiang(玄奬) from ancient India in 645 A.D. and translated into 582 Chinese characters in 648 A.D. This scripture was translat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practical Buddhism doctrines, that is, teaching of Buddhist commandments and almsgiving. The structure of its text shows the repetition of the same terms, and many of its contents are the same with those of Chulyogyeong(出曜 經) and Japahamgyeong(雜阿含經). All the Dunhuang(敦煌) copies of Cheoncheongmungyeong, disclosed up to now, are manuscripts. They were bound together with other short scriptures which prayed for the happiness of the dead and the longevity and fortunes of the living persons. The printing types and contents of Daejanggyeong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Tripitaka Koreana(高麗大藏經)and the Qishazang (磧砂藏) of China. This study found that the first-carved edition was carved, based on Gaebochikpan Daejanggyeong(開寶勅版大藏經) and the second-carved edition was re-carved on the basis of its first-carved edition. Three kinds of Cheoncheongmungyeong-so, which is the annotations of Cheoncheongmungyeong, were found up to now. Particularly, Sin 316(新316) is the annotation for the writing model recorded in Sinpyeon jejonggyojang chongrok(新編 諸宗教藏總錄) of Ueicheon in the Goryeo Period. Cheoncheongmungyeong-byeon of Sa 1397(斯1397號) was not Bianwen(變文), but the transcription of the text quotations(榜題) on the wall paintings which illustrated the contents of Cheoncheongmungyeong.

한국어

이 연구는 「天請問經」이라는 불교경전의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고, 계통을 파악하며, 敦 煌寫本, 漢譯大藏經의 교감을 통해 현전하는 문헌자료의 상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天請問經」은 玄奘에 의해 645년 인도로부터 原典이 수입되었고, 648년 漢譯된 582字 분량의 小乘單譯經이다. 大衆에게 修戒와 布施라는 실천적인 敎義를 설파하기 위해 번역 된 경전이다. 문장의 구조는 동일한 용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을 보이며, 내용은 「出曜經」 및 「雜阿含經」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현재까지 공개된 敦煌本 「天請問經」은 모두 寫本이다. 다른 짧은 경전들과 함께 合本 형태를 이루는데, 죽은이의 冥福을 빌거나 살아있는 사람의 長壽와 福을 비는 내용의 경 전들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大藏經本으로는 高麗大藏經의 初雕本과 再雕本, 중국의 磧 砂藏을 중심으로 자형 및 내용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초조본은 開寶勅版大藏經을 底本으 로 板刻되었으며 재조본은 초조본의 飜刻本임을 확인하였다. 註釋書인 「天請問經疏」는 현재 총 3種이 공개되었는데 특히 新316는 高麗 義天의 「新 編諸宗教藏總錄」에 수록되어 있는 文軌의 註釋이다. 斯1397號 「天請問經變」은 變文이 아닌 「天請問經」의 내용을 그린 벽화 榜題의 底稿로서 필사된 것이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天請問經」의 계통과 구성체제
  2.1 유래와 漢譯
  2.2 계통분류
  2.3 구성체제의 특징
 3. 현전본 「天請問經」의 분석
  3.1 敦煌本 「天請問經」의 校勘
  3.2 大藏經本 「天請問經」의 校勘
  3.3 「天請問經」의 주석서와 變文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미 Kim, Eun Mi. 고려대장경연구소 돈황팀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