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istorical Sector of Sago Jeonseo Chongmok(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 Centering on the Description in ‘Saji Mongnok(Catalogues of Chinese History Books)’ -
「사고전서총목」 사부의 분류체계에 관한 기원 연구 - 사지목록의 사부를 중심으로 -
초록
영어
In the ancient China, classification of books was the basis of academic research and classification of academic field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bibliographical studies. In the Qing Dynasty, such tradition had developed to describe the academic origin and theoretical trend of bibliographical studies in China, and the bibliography became a standard to figure out the origin, development and context of academic schools and doctrines. Sago Jeonso Chongmok(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compiled in the Qing Dynasty classified books into four classes, that is, Confucius Classics, History, Miscellaneous Subjects, and Collection of Writings. It,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bibliographical works related to classification systems of books, is valued as the most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Chinese bibliographical works ever compiled. The Class of History in 'Sago Jeonso Chongmok' was originated from long time ago and largely influenced lby 'Saji Mongnok(Catalog of Chinese History Books)'. 'Saji Mongnok' means the catalogs contained in 'Ji' which was one part of Chinese official history, including 'Gyeongjeokji', 'Yemunji', etc. Sin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Saji Mongnok' and the origins and relations of their examples are complex, an approach from both bibliographic and comprehensive historical views are requir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entries of 'Saji Mongnok'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tyles of bibliographies and catalogs. Wit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rigin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subclasses of the Class of History in 'Sago Jeonso Chongmok' were originated from 'Saji Mongnok'. And by comparing the subclasses and entries of 'Jeongsa(Authentic History)' with various official and private bibliographies, it was examined how their classification systems and entries were newly formed, added, and deleted, and then passed down to the Class of History in 'Chongmok'. Finall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bclasses and entries of the Class of History in 'Chongmok' through its explanatory notes and prefaces,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Chongmok'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bibliography' is also discussed.
한국어
중국고대에는 도서 분류를 학문연구와 학술 분류의 기초로 삼았고 이는 목록학연구의 근간이 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淸代에 이르러 중국목록학의 학술의 원류와 학설의 추이를 기술하는 경향으로 발전했고, 목록학은 도서 분류의 중심이 되는 類例를 근간으로 학파와 학술의 기원, 맥락을 파악하는 준거가 되었다. 청대 저술된 「四庫全書總目」은 經史子集의 四部로 도서를 분류했다. 본서는 역대 도서 분류와 관련된 가장 저명한 목록학 저술중의 하나로서, 중국 역대 목록학 저술의 집대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四庫全書總目」 史部 의 史書 관련 도서의 분류는 그 기원이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史志目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사지목록이란 원래 중국 正史의 체례 중 ‘志’에 해당하는 「經籍志」, 「藝文志」 등의 목록서를 지칭한다. 사지목록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특히 類例의 기원과 전승관계가 복잡 해서 목록학적인 시각과 함께 통사적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런 점에 착안하 여 우선 사지목록의 저록을 장서목록과 서목의 형태라는 관점에서 그 체례를 비교․분석했 다. 이를 통해 「總目」 史部의 도서 분류 체계의 기원과 類目의 설치가 역대 사지목록에서 기원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正史」史部에 속한 類目과 子目을 역대 저술된 官修와 私 撰의 목록서를 서로 비교하여 이들의 분류체계와 類目이 어떻게 신설․증설․폐지되면서 「總目」 史部의 類目으로 전승되었는지 그 과정을 고찰했다. 끝으로 「總目」 史部의 類目과 子目의 설치과정을 ‘ 凡例’와 史部의 “敍”를 통해 분석하여 「總目」이 “形態書誌學”의 지향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史志目錄의 형성과 史部의 출현
2.1 史志目錄의 의미와 범주
2.2 도서분류법의 변화와 史部의 출현
3. 「正史」史部의 類目과 著錄형태 - 나열적 서지의 특성
3.1 「正史」史部의 類目의 비교
3.2 「正史」史部 저록형식의 비교
4. 「總目」 史部와 類目의 구성
4.1 「總目」 史部의 類目과 子目
4.2 「總目」 史部와 「隋志」 類目의 비교
4.3 「總目」 史部와 諸목록서 史部類目의 비교
4.4 「總目」 史部의 구성적 특징 - 분석적 서지의 지향
5. 소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