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국가 중앙인쇄기관의 조직ㆍ기능 및 업무활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Functions and Operation of the Central Printing Office in the Joseon Period

金聖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the organization, functions and operations of Gyoseogwan(校書館) as the central government printing office in the Joseon Period i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First, the organization of Gyoseogwan and its changes are as follows: 1) Gyoesogam(校書監: Gyoseogwan) was first established as the government organization on the Third Level of the official rank where 15 civil ministers worked. Its name was changed into Gyoseogwan and its organization was strengthened with the merger into Sejeokwon(書籍院) in 1401. 2) In 1460, Jujaso(鑄字所) then abolished was merged into Gyoseowan which becam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of the Second Rank in 1461. 3) In 1466 Gyoseogwan whose name was changed into Jeongyoseo(典校 署), was downgraded to the organization on the Fifth Rank. In 1471, Gangyeong- Dogam(刊經都監) then abolished was merged into Gyoseoqwan without any upgrade in its Rank. 4) In 1484, Jeongyoseo was renamed Gyoseogwan, and again upgraded into the Third Rank. The organization of Gyoseogwan was finally established as the Third Rank in 1485, with the publication of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Second, the functions of Gyoseogwan and its changes are as follows: The functions of Gyoseogwan encompassed ①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books, ② supervision of woodblocks, collections and movable types, ③ supervision of official seals, incenses and prayers, ④ casting of movable types, ⑤ other miscellaneous duties.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printing books with woodblock carved in local provinces and held by Gyoseogwan and distributing them was the core function. In this chapter, it is also maintained that the function of casting movable types should be added. Third, the operations of Gyoseogwan wa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With its main function of publishing books, it seems that Gyoseogwan wa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with most government publications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교서관은 조선시대 국가 중앙인쇄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조직․기능․업무활동을 수행하 였다고 규정할 수 있다. 첫째, 교서관의 조직과 그 변천 상황을 考究하여 보았다. 그 결과, 1) 교서감(교서관)은 그 초기에 15명의 文臣이 근무하는 ‘正三品의 衙門(기관)’으로 출범하 였다가, 1401년(태종 1)에는 書籍院을 병합하면서 ‘교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그 조직 또한 강화되었다. 2) 세조 때(1460)에 주자소가 혁파되면서 교서관에 합속되었고, 1461년에는 ‘二品 官의 衙門(기관)’으로 그 면모가 一新되었다. 3) 1466년(세조 12)에 교서관은 ‘典校署’로 그 명 칭이 변경되면서 ‘五品의 衙門(기관)’으로 강등되었다가, 1471년(成宗 2)에 간경도감이 혁파됨 과 동시에 교서관에 合屬되었으나, 교서관 조직의 승격은 없었다. 4) 成宗 때(1484)에 ‘전교서’ 는 ‘교서관’으로 명칭이 환원됨과 동시에 ‘3품의 아문’으로 그 관제가 승격되었다. 그리하여 교서 관의 조직체계는 1485년에 「經國大典」이 최종 반포와 더불어 ‘三品의 官衙’로 제도화되었다. 둘째, 교서관의 기능을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교서관의 기능은 국가적인 규모와 측면에 서 ① 書籍의 印出 및 頒賜, ② 木板․藏書(文籍․圖書)․鑄字의 관리, ③ 印篆․香祝의 管掌, ④ 活字의 鑄造, ⑤ 기타의 임무’ 등으로 크게 5大 구분하여 그 기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중 교서관의 ‘서적의 인출 기능’은 지방에서 판각한 판목 및 교서관 소장의 목판․금속활자에 의하여, 교서관에서 서적을 인출․보급하는 업무가 그 핵심이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장에서는, 조선 후기 교서관에서의 ‘校書館印書體字’의 주조를 주목하여, 교서관 기존의 기능에 ‘활 자의 주조 기능’도 추가로 포함되어야 함을 피력하였다. 셋째, 교서관의 업무활동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서관은 서적의 인출업무가 그 핵심 기능이었기 때문에 조선왕조 全時代에 걸쳐 인쇄․출판된 모든 官撰書籍은 교서관의 인 쇄활동과 직․간접적으로 모두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교서관의 조직 및 변천
 3. 교서관의 기능
 4. 교서관의 업무활동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聖洙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