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金敏榮 所藏 佛書의 書誌的 硏究

원문정보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Buddhist Books Owned by Kim Min-Young

김민영 소장 불서의 서지적 연구

尹惠營, 姜順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details and constitutions of the Buddhist books collected by Kim Min-Young,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es of each edition for 388 volumes of 272 titles with the records of publication out of 1,292 volumes of 734 titl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im Min Young had collected the Buddhist books through Tongmungwan since the late 1960s, and so far through Hogodang, Munwuseolim and so forth. Second, his collection of the Buddhist books consists of the scriptures(224 volumes of 126 titles), the Buddhist ceremonial books(52 volumes of 49 titles), the Buddhist monk anthologies(51 volumes of 46 titles), Korean Buddhist works(44 volumes of 34 titles), and Meng-shan Te-i'’s writings(17 volumes of 17 titles). Third, among the scriptures, valuable editions include Myopopyunhwakyung which is the reprinted edition of Munsusa-bon in the 1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1417), Geumkangbanyabaramilkyung (Ogahae)(Seolui) in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37) interpreted by Gihwa, Jijangbosalbonwonkyung in the 1st year of King Danjong’s reign(1453), Daebanggwangbulhwaeumkyung in the 12th year(1557) and 19th year(1564) of King Myeongjong, and Neungumkyung(Unhae) published with Ulhae-ja and Hangul movable types in the 7th year of King Saejo(1461). Valuable editions in the ceremonial books include Sanggyojeongbonjabidoryangchambeob in the 19th year of King Seongjong(1488) and Unsudangisa, Bongjeongsa-bon published in the 21st year of the King Injo(1643). Among the monk collections, Samyeongdangdaesajib first printed in the 4th year of King Gwanghae(1612) is the most valuable. Among Korean buddhist works, Mokwoojasoo-shimgyul(Unhae) in the 13th year of King Saejo(1467), Gyechosimhakinmoon published at Daegwangsa, Suncheon in the 20th year of King Jungjong(1525), Hamheodangdeuktong-hwasanghyeongjeongron printed at Chojugapinja in the 32nd year of King Saejong(1450) are the valuable editions. Among Mongsan Toki-bon, the edition of Mongsanhwasangbeobeoyakrok (Unhae) published at Gangyeongdogam in the 3rd year of King Seongjong(1472), the Gwangheungsa-bon of Mongsanhwasangyookdoboseol in the 34th year of King Jungjong (1539), and Yookjodaesabeobbodankyung reprinted in the 13th year of King Myeongjong(1558) from the first edition of Toki-bon are valuable edi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김민영이 소장하고 있는 불서자료의 수집경위와 장서구성에 대해서 알아보 고, 소장 불서 734종 1,292책 중 유간기 자료 272종 388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각 판본의 특징 및 계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김민영은 1960년대 후반부터 通文館을 통하여 불서를 수집하기 시작하였 고, 현재까지 好古堂, 文友書林 등 고서점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 대표불서군별 로 장서구성을 살펴보면, 經典類 126종 224책, 儀式儀禮集 49종 52책, 僧侶 文集 46종 51책, 韓國 撰述類 34종 44책, 蒙山德異本 17종 17책이다. 3) 대표불서군별 판본 특징은, 經典類 중에서는 태종 17년(1417) 文殊寺 飜刻本의 「妙法蓮華經」, 성종 1년(1470)본의 「妙法蓮華經」, 己和가 說誼한 중종 32년(1537)본의 飜刻本 「金剛般若波羅密經」, 단종 1년(1453) 花岩寺本의 「地藏菩薩本願經」, 명종 12년(1557)본과 명종 19년(1564)의 「大方 廣佛華嚴經疏」, 세조 7년(1461) 乙亥字와 한글 활자가 혼용되어 간행된 「楞嚴經」이 귀중 본에 속한다. 儀式儀禮集은 성종 19년(1488)본의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인조 21년 (1643) 鳳停寺에서 간행된 「雲水壇歌詞」 등의 자료가 대표적 판본이다. 僧侶 文集 중에는 광해군 4년(1612) 초간본인 「四溟堂大師集」, 경종 4년(1724) 순천 송광사 후쇄본인 「無用 堂遺稿」 등이 대표적 판본에 속한다. 韓國 撰述類 중에서는 세조 13년(1467)에 간경도감 에서 간행한 「牧牛子修心訣(諺解)」, 중종 20년(1525) 大光寺本 「誡初心學人文」, 세종 32 년(1450) 「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이 귀중본에 해당된다. 蒙山德異本 중에서는 성종 3년 (1472)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중종 34년(1539) 廣興寺본의 「蒙山和尙六道普說」과 초간본 德異本의 번각본으로 명종 13년(1558)에 간행한 「六祖大師法寶壇經」이 귀중본 에 해당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김민영 소장 불서의 수집경위와 장서구성
 3. 김민영 소장 불서의 분석
 4.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尹惠營 윤혜영. SK C&C Industry 사업개발팀 과장
  • 姜順愛 강순애.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