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from a new perspective the concept of the technique of casting metal movable ty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this research, with the focus mainly on ‘Imjin-Ja(1772)’ and other movable types, including ‘Musin-Ja Hangul Types(1668)’, ‘Gyoseogwan Inseoche-Ja(Before 1684)’, ‘Jeongyu-Ja(1777)’, ‘Jeongli-Ja(1796)’ and ‘Han Gu-Ja(Mid-17th century, 1794, 1858)’,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y of casting metal movable types during this period. It was tested how to restore and cast metal movable types, based on some clues of the technique of casting Imjin-Ja.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uccessful to try the new method of casting movable ty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procedure: ① Wooden movable types whose top and bottom were separate from each other were used as ‘father types(父字)’, ② In a female mould(bottom part of a mould), top parts of ‘father types’(face of a letter) were inserted to form ‘mother types(母字)’, ③ In a male mould(top part of a mould), bottom parts of ‘father types’(a tunnel-shaped bottom of a letter) were inserted to form ‘mother types’, ④ Top and bottom parts were joined to form complete ‘mother types’, ⑤ By pouring melt metals into space of mother types, metal movable types with a double-deck tunnel-shaped bottom were successfully form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is new method include the following: ① Only few dozens of ‘tunnel-shaped bottom’ parts of ‘father types’ were needed to be cast. They could be repeatedly used to definitely shorten the period of making the whole set of ‘father types’, ② In casting, the procedures of making both male and female moulds could be efficiently divided and handled, ③ Metals of ‘movable types with a double-deck tunnel-shaped bottom’ could be soon cooled down so as to shorten the time of casting and improve the rate of completion. Third, it is assumed that the technique of casting metal ty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much improved from the technique in the early Joseon Period. Also, it also brought into division of labor and increased the efficiency so as to shorten the time of making and improving the whole process.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금속활자 주조방법에 관한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 및 방법은 ‘임진자(1772)’를 중심으로 하고 ‘무신자(1668)한글활자’⋅‘교 서관인서체자(1684 이전)’⋅‘정유자(1777)’⋅‘정리자(1796)’⋅‘한구자(17세기 중엽, 1794, 1858)’ 등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후기의 금속활자 주물사주조에 관한 방법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임진자의 복원주조를 위한 실험의 단서를 확보하고, 이에 입각한 복원⋅주조의 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활자의 새로운 주조방법의 과정은 ① ‘상하분리형父字(목활자)’를 사용 하고, ② 암틀(下型 주형틀)의 주물사 속에서는 ‘上部의 父字(글자 面)’를 활용하여 母字 를 造成하고, ③ 수틀(上型 주형틀)의 주물사에서는 ‘下部의 부자’를 활용하여 母字를 조 성하여, ④ 이렇게 조성된 상⋅하부 공간이 하나로 결합되어 완성된 母字의 형태로 나타나 고, ⑤ 여기에 쇳물이 부어짐으로써 鑄成되는 금속활자, 이른바 ‘이중의 마름모꼴 터널형 활자’를 발명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위와 같은 주조법의 특징 및 효과는 ① ‘터널형의 하부 父字’는 다만 주조시에 활용될 수십 개만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 父字의 제작시일을 절대적으로 단축시키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② 주조 때에는 수틀의 주형틀 공정과 암틀의 주형틀 공정 작업의 분업화 및 능률화를 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③ ‘터널형 활자’는 주조 때에 쇳물이 빨리 식을 수 있기 때문에 주조시간의 단축 및 금속활자 주성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큰 장점 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조선후기 주물사주조법은 조선초기의 그것보다 한 단계 더 진보된 방법으로 계량 되었고, 작업공정의 분업화와 능률화를 꾀함으로써 효율적인 주조 및 주조시간을 단축하 는 효과를 보았다고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緖論
2. 조선후기 금속활자의 주조 개요
3. 임진자 복원주조 실험의 端緖
4. 임진자의 복원주조를 위한 실험
6.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