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雲騰 金致雨 敎授 定年紀念 論文集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활자의 과학 분석

원문정보

The Scientific Analysis of Movable Types Replicated from the Movable Metal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윤용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omposition ratio of different metals in printing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and prepare for the guidelines for casting, following the standard technique used in the Joseon Period, in order to replicate those metal types. The Imjinja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how the alloy ratio, on the average, which consist of 80% of copper , 10% of tin and 10% of lead. To produce an alloy of that ratio, 80% of copper, 15% of tin, and 15% of lead of the desired weight, respectively, are mixed. (That is, of the constituent metals, 72.8% is copper, 13.6% is tin and lead 13.6%). Metal printing types are first cast using the pre-alloy of copper 80%, tin 15% and lead 15%. Any extra metal remaining inside the mold after removing types was recovered and re-used. This metal, known as 'Gajisoi' was re-melted and used to cast printing types known as 'Seokbosangjeol'. The constituents of pre-alloys and replica metal printing types were analyzed by ICP-AE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re-alloy was performed twice to reduce errors. The average of copper ingredient from seven well-made pieces was measured to be 77.1%. The average ratio of alloy from four well-made pieces was measured to as copper 78.8%, tin 9.88% and lead 9.75%. The result is very similar to the ratio of the original Joseon Imjinja metal printing types, which were measured as copper 80%, tin 10% and lead 10%. This fact seems to contribute to figuring out the original alloy ratios of Joseon metal printing types. To cast Joseon Imjinja, two different ratios could be assumed: First, when pre-alloy is used, the ratio could be copper 72.8%, tin 13.6% and lead 13.6%. Second, when types are directly cast, the ratio could be copper 77.0%, tin 11.5%, and lead 11.5%. Futhermore, some of Imjinja metal printing type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show quite different alloy ratios are considered to be made of 'Gajisoi' left over from the first step of cas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iidentify further not only the alloy ratios of metal printing types made in the Joseon Period but also other historical bronze relics.

한국어

이 글에서는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의 복원 주조 시 함금비율의 산정, 주조 방법의 기준 마련, 복원을 통한 조선시대 금속활자 합금 조성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금속활자 복원 함금비율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임진자의 평균값인 구리80% : 주석 10% : 납 10% 에 맞추었다. 임진자의 함금비율에 맞추기 위하여 구리 80% : 주석 15% : 납 15%로 110% 의 비율을 정하였다. 이를 백분율로 하면 구리 72.8% : 주석 13.6% : 납 13.6%이다. 금속활자 주조는 제 1단계로 구리80% : 주석 15% : 납 15%로 모합금을 주조하였다. 제 2단계로 모합금을 녹여 금속활자를 주조하였으며, 2단계 금속활자 주조에서 생성 된 가지쇠를 녹여 한글금속활자(석보상절)를 주조하였다. 위의 모합금과 복원 된 금속활자를 습식 분해하여 ICP-AES(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분석기)법으로 성분분석하여 각 원 소를 정량화 하였다. 먼저 모합금의 성분분석은 분석 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모합금의 1․2차 성분분석에서 고른 값을 보이는 7점의 구리 성분의 평균값은 77.1%이다. 주조 2단계인 갑인자계열 금속활자 가운데 고른 값을 보이는 4점(구 리 78~79%)의 평균값은 구리 78.8% : 주석 9.88% : 납 9.75%로 분석되었다. 이 번에 복원 되는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성분비율로 정한 구리 80% : 주석 10% : 납 10%와 잘 맞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시대에 주조한 금속활자의 원 합금비율을 밝히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비추어 조선시대 임진자를 주조하기 위한 원 합금비 율은 2가지로 가정할 수 있다. 첫째는 모합금을 사용하였을 경우는 구리 72.8% : 주석 13.6% : 납 13.6%로, 둘째는 직접 주조 하였을 경우는 77.0% : 주석 11.5% : 납 11.5%이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임진자 가운데 성분비(구리)에서 큰 편차를 보이는 활자는 임 진자의 1차 주조에서 생성된 가지쇠를 녹여 만든 활자일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분석대상
 3. 분석방법
 4. 시료전처리
 5. 성분분석 방법 및 결과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용현 Yun, Yong-hyun.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팀 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