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reports the result from the pilot experiment conducted to restore Imjin-Ja movable typ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sting of Imjin-Ja(壬辰字) is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Second, in the third chapter, ‘Hangul Metal Movable Types with Musin-Ja(戊申 字)’ which are currently held at the National Central Museum of Korea, are referenced as the starting point to conduct the pilot experiment to restore Imjin-Ja. It was confirmed that these Hangul Movable Types were cast with the matrix which separated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other words, while in the female matrix(the lower side of a matrix) the top part of wooden types were planted, the bottom part of types with the shape of a tunnel were either planted or pressed to form the matrix and then pour melted metals in the male matrix(the upper side of a matrix). Third, in the fourth chapter, the success rate for casting movable types reached 60-75% in the pilot experiment to restore Imjin-Ja. Even this success rate is not necessarily considered satisfactory. Therefore, for a better result in the future, some drastic 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these methods are required.
한국어
이 논문은 임진자(壬辰字)를 복원 주조하기 위한 예비(pilot) 실험에 대한 연구이다.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자(1772)의 주조에 대한 개요를 서술하였다. 둘째, 임진자 복원 주조를 위한 예비적 실험의 단서(端緖)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무신자 병용 한글 금속활자’를 택하였다. 이 활자는 초주갑인자부터 사용 된 주조방법과는 전혀 다른 주조형태이다. 이른바 터널형 활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활자 를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은 활자의 새로운 주조방법은 상하분리형父字(목활자)를, 암틀(하 형의 주형틀)의 주물사에는 그 상부의 父字를 심고, 수틀(상형)의 주물사에는 그 하부의 父字를 심거나 다져진 상태로 각각 그 母字를 조성한 후, 쇳물을 부어 주성한 결과임을 파악하였다. 셋째, 임진자 복원 주조를 위한 예비 실험에서는, 기존의 주물사주조법을 응용하여 실 험한 공정을 30단계로 나누어 차례대로 논술하였다. 그 결과, 활자 주성(鑄成)의 성공률은 약 60-75%에 이르렀다. 비록 활자의 주성에서는 과반수 이상 성공률을 보였지만, 이는 완벽하고 만족할만한 실험결과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차후의 본격적인 실험에서는 그 실험의 핵심 방법론을 개량하거나 또는 달리하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1. 緖論
2. 임진자 주조의 개요
3. 임진자 복원 주조 예비적 실험의 단서
4. 임진자 복원 주조를 위한 예비 실험
5. 結論
참고문헌